아하
경제

무역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미국과 FTA 체결국 중에서 우리나라 관세가 가장 높던데 우리나라의 어떤 산업을 겨냥하기 위해서라 할 수 있나요?

미국과 FTA 체결국 중에서 우리나라에 부과하는 관세가 가장 높은 편이더군요

이번 미국의 관세정책은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여기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나요?

현재 발표된 관세를 보면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제품을 생산하는 국가들에도 큰 폭의 관세부과를 명령했던데

어떤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최근 미국 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기업들이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제품 분야의 대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번 25%의 관세 부과로 인해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

    전자제품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베트남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데,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46%의 관세 부과로 인해 이들 기업의 수출 전략에 큰 차질이 예상됩니다. ​

    이러한 관세 정책은 우리나라의 수출 주도형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해당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수출 기업 중 특히 자동차, 철강, 전자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자동차 업계는 미국이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관세를 강화하면서 비용 부담이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철강업계 역시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로 인해 수출이 제한될 위험이 큽니다. 또한, 반도체와 배터리 등 전자 산업도 주요 생산 기지가 위치한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원가 상승과 경쟁력 약화가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25%라는 관세는 상당히 높은 수준인데,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의 상황이나 중국 우회수출에 대한 의심 등이 이루어진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무래도 당장 가장 큰 피해를 당하는 산업은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 한국의 주요물품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5/04/03/YDJGBVHGNFAXVKRG2QUL5ZW4SU/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는 미국과의 무역적자 15국중에서도 상위를 차지 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에서도 자동차에 대한 내용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와의 무역불균형을 설명한것으로 보면 자동차 자동차 부속품 등의 산업과 반도체 등이 영향하에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