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 교육법

만 5세 남자아이입니다.

원래 체질적으로 가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라는걸 알고는 있습니다.

가만히 있지 못하다보니 친구가 다치는 경우가 있었고 이번에 팔이 부러지는 사고로 수술까지 했습니다.

식사를 할때도 밥을 들고 뛰고 밥을 다먹은후에도 침대에서 뛰고 구르고 동생을 때리고 소리를 지르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쇼파에서도 한참을 뛰고 식사중에도 뛰어놉니다.

결국에는 아빠한테 혼나기를 반복중입니다.

ㅇㅇ아 가만이 있어줄수 있을까 하면 네! 라고 답한지 1분만에 정신사납게 돌아다니다 동생하고 부딪치고 동생이 울면 아빠가 달려온다는걸 아는 눈치인지 동생 입을 베개로 틀어막는 일도 있었습니다.

체질적으로 가만히 못 있는 아이의 경우 어떻게 교육과 훈육이 들어가야하는지 일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송신애 유치원 교사
    송신애 유치원 교사
    누리유치원

    먼저 문제 행동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에너지를 발산하고 싶은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억제하려고 하기보다는 아기가 건강하게 발산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짧고 명확한 지시 사용하기 '지금은 5분 동안 앉아서 그림을 그리자' 처럼

    움직임을 허용하는 놀이 제공, 움직이며 배우는 방식 활용하기(숫자 슨티커 붙이며 계단 오르기 등), 일정한 루틴과 예고 중심 생활, 눈맞춤+짧은 칭찬+바로 행동하기 등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첫째 아이가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한다 라는 부분을 파악해 보면

    첫째 아이가 차분함 보다는 산만함이 강한 기질 인 것 같습니다.

    또한, 첫째 아이는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인지가 부족해서 그 안 좋은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면서 실수를 하는 것인데요.

    첫째 아이가 산만함으로 행동을 하였다면 첫째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첫째 아이를 동생이 보이지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첫째 아이를 앉히고 첫째 아이의 손을 잡고 첫째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산만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눈높이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정적인 활동을 통해서 아이의 차분함을 길러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적인 활동에는 책읽기, 그림그리기, 퍼즐맞추기, 블럭놀이, 다양한 보드게임, 종이접기 등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 5세 남자아이가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는 행동은 발달적 특성일 수 있지만 곧 학교에 입학하면 일정 시간 자리에 앉아 규칙을 지키고 친구들과 어울려야 하므로 지금부터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아이에게는 구체적이고 짧은 규칙을 반복적으로 안내하고 규칙을 잘 지켰을 때는 즉각적으로 칭찬하거나 보상을 주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해야 합니다.

    에너지를 충분히 발산할 수 있는 시간을 매일 마련해주고, 식사나 실내 활동 때는 차분히 앉아 있는 연습을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복적인 사고나 충동적 행동이 심하다면 전문가 상담도 고려해야 하며, 부모는 혼내기보다는 일관된 규칙과 긍정적 피드백으로 아이가 자기조절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학교 가기 전까지 이러한 연습이 이루어져야 아이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만 5세 아이가 체질적으로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과잉행동을 보일경우, 단순 훈육보다는 에너지 방출 구조화, 일관된 규칙 설정, 즉각적 피드백이 핵심입니다. 하루 중 충분히 뛰고 놀수 있는 시간을 먼저 확보해 주세요. 에너지를 해소할 안전한 통로가 필요합니다. 문제행동(동생 때림, 뛰기 등)은 일관되게 중단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조용히 앉기)은 바로 칭찬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동생을 때리는 잘못된 행동에는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알려주세요

    혼자 놀거나, 텔레비젼, 게임을 금지 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의 에너지는 건강하게 해소 시킬 수 있도록 태권도, 줄넘기, 수영등 주기적으로 운동을 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거 같아요.

  •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먼저ㅈ한시도 아만히 있지 못하는 아이들의 특징을 이해하는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대부분 비슷한 경향을 보여요

    이는 정상적인 발달 과정의 하나 입니다

    다만 이를 문제로 보기 보다는 에너지와 호기심을 이해하고 적절히 이끌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단 주의력 결핍장애와 단순한 활동성은 구분이 필요합니다

    명확한 한계와 규칙을 정하고 아이와 충분한 소통을 한 후 일관되게 훈육 합니다

    부모님이 신뢰한다는 믿음을 주고 에너지가 충분히 발산 될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만들어 주세요

    부정적인 언어와 감정보다 사랑으로 안아줘 보세요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