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거시경제 모델은 금융위기와 같은 비선형적 충격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여러 모형들이 균형적인 조건에서는 작동하지만 실제 경제에선 종종 대규모의 불확실성과 비선형적 충격을 경험하게 되는것 같은데 이런 사건을 기존 모형으로 설명하거나 예측할수 있는지 혹은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것인지 궁금해용!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대의 거시경제 모델로 금융위기와 같은 비선형적 충격을 설명할 수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기존의 거시경제 모델링이 사실상 무효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입니다.
이는 거시경제 모델이 통계적 모델이라는 특성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금융위기 등을 설명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대 거시경제 모델은 금융위기와 같은 비선형적 충격을 설명하는 데 구조적 한계를 보입니다. 기존 신고전파 및 신케인즈주의 모델은 완전시장 가정과 선형화기법에 의존해 비유동성, 금융기관의 상호연계성 등 복잡한 비선형 상호작용을 배제했습니다. 특히 2008넌 금융위기 이후 금융부문이 충격의 진원지로 작용하는 메터니즘을 포착하지 못한 점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금융안정섵 요소를 통합하고 비선형스터캐그틱 모델 개발을 시도하지만, 임계점 효과나 티핑 포인티 등 복잡한 현실 경제의 역동성을 완전히 재현하기에는 아직 미흡합니다. 이는 거시경제 정책 설계시 이론과 현실 간 괴리를 유발하는 근본적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 모델은 기본적으로 경제주체들의 합리적인 행동과 시장의 균형을 가정합니다.
따라서 비선형적인 충격이나 불확실성은 설명하거나 예측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에서 개발한 한국형 준구조 거시경제모형은 모형설정이나 확장, 수정 등이 용이해 경제여건 변화를 빠르고 유연하게 반영하여 예기치 못한 돌발 변수(코로나, 금융위기 등)를 경제 전망에 빠르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