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잘웃는꿀벌46
잘웃는꿀벌4624.01.05

부모가 심장이 안 좋으면 자식도 안 좋나요

나이
30
성별
남성

저희 아버지가 심장이 안 좋으셔서 약을 드시고 계시는데 아버지가 심장이 안 좋으면 자식들도 심장이 안 좋은가요? 건강검진 때 심장쪽도 한번씩 보는 것도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부모가 심장이 안 좋다고 자식도 무조건 심장이 안 좋을 것이라는 구체적인 명확한 근거는 없습니다만, 아무래도 유전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자식이 주의하긴 하여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심장 질환의 위험 요소 중 일부는 유전적인 경향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특정 유형의 심장 질환과 같은 상태는 가족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 중에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자녀들도 심장 건강을 주의 깊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심장질환이 모두 유전적이라고 볼수는 없으며 오히려 후천적인 발생이나 특발성인 경우의 비중이 더 큽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에서 심장 건강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현명한 조치입니다. 이는 심장 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심장 관련 검사에는 혈압 측정, 콜레스테롤 수치 검사, 심전도(EKG), 심장 초음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한데, 이에는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가족력이 있다면 말씀하신대로 주의깊게 검진받고 살펴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만 아직 젊으시니 한 번 검사받아보시고 이상이 없다면 간격을 수 년 정도로 잡으시면 되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질병에 따라 다른 것이 사실입니다. 보통 고혈압이나 고지혈증의 경우,

    유전적인 성향이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에서도 고지혈증과 고혈압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 등 심혈관 질환 역시 유전적인 성향이

    있지만 부정맥이나 판막 질환은 유전 보다는 환경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심장이 안좋다는 것은 너무 애매한 표현이랍니다. 가족력이 있는 심장 질환도 있지만, 없는 경우도 많거든요. 심장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