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감기는 왜 빨리 안낫는 것일까요?
여름 감기는 왜 빨리 안낫고 오래가며 가래가 왜이리 많이 나오는건지 궁금합니다. 오히려 겨울이 감기 걸리면 안낫는게 정상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여름감기라고 오래 가는것은 아닙니다 개인의 면역기능이나 몸의 전반적인 상태가 안좋으면 오래 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여름 겨울에 걸린다고 해서 특별히 더 안낫는 시기가 있는건 아닙니다.
바이러스의 종류, 환자의 컨디션 등에 따라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여름감기와 겨울감기가를 환자분들은 걸리는 시기로 나누어서 이야기하실 수 있지만 의학적으로는 차이가 없습니다.
감기라는건 rhinovirus, coronavirus (코로나 19와 다름)을 비롯한 200여종의 바이러스 감염질환입니다.
원인 바이러스에 따라서 증상이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을 뿐 이게 여름감기라서 오래가고 겨울감기라서 금방낫는게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여름 감기가 빨리 낫지 않고 오래가며 가래가 많이 나오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여름 감기는 대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쉽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으로 인한 실내외 온도 차이가 크고, 공기의 건조함이 목과 코 점막을 자극해 감기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여름 감기가 더 오래 지속되고, 가래가 많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겨울 감기는 건조한 공기와 추위로 인해 발생하기 쉽지만, 치료나 증상 완화는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병원 의사입니다.
감기는 추워서 걸리는 것이 아니라 감기바이러스에 감염이 되면 걸립니다. 추워도 바이러스가 없으면 감기에 걸리지 않습니다. 겨울에는 바이러스도 더 왕성해지고 잘 모여있으므로 전염이 더 잘되어서 겨울에 잘 걸립니다. 감기가 낫는것은 계절보다는 면역력과 관계가 있습니다. 한가지 생각해봐야 할것은 이번달 들어서 코로나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한창 유행시기의 전단계를 보는 것 같습니다. 느낌상으로는 전국적으로 10~20만명쯤 될것 같습니다. 코로나에 대한 경계심이 낮아져서 코로나를 감기처럼 생각하고 병원에 안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20대면 코로나여도 안정을 취하고 회복하면 대개 잘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해당합니다. (코로나, 독감 또한 큰 범주로는 감기바이러스에 속할수 있찌요.)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당시, 우리 몸의 상태에 따라 회복기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계절에 따라 치유기간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랍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여름 감기와 겨울 감기가 따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기본적으로 실내 활동이 많으며 이로 인해 환기가 어렵게되고 히터 등으로 인해 실내가 건조해져 호흡기 점막도 건조해지면서 바이러스가 착상하여 인체에 침투하기 쉬운 환경을 만듭니다. 그러므로 주로 감기는 겨울철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코로나 19의경우 계절성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보기 보다는 변이에 따라 그 양상이 매우 다르고 여름철에도 환기 보다 에어컨 냉방을 통한 실내 생활과 건조한 환경으로 감기에 걸릴 수 있으며 유병기간은 개인에 따라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