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이상한앨리스98
이상한앨리스9822.07.07

너무 어지러워서 앉을 수도 없습니다.

나이
5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증상은

식은땀

약간의 메스꺼움

심한 어지러움

증상이 있습니다.

특히 어지럼증이 너무심해 앉는 것, 누워서 움직이는 것 조차 힘듭니다.

일단 ct, mri 심전도, 피검사를 받아봤지만 이상이 없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어지러움증의 원인은 크게 소뇌의 문제인 중추성 혹은 전정기관이라 불리는 달팽이관에서 발생하는 말초성 현훈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중추성 병변은 주로 뇌졸중 등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젊은 나이대에서는 흔하지 않습니다. 전정기관에 문제가 생기는 말초성 현훈은 주로 이석증이나 전정기관염, 메니에르 병등에 의해서 발생하며 이비인후과, 신경과 등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타깝지만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은 빈혈부터 전해질 이상, 전정기관의 문제, 심자의 이상, 뇌질환까지 굉장히 다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지럼증 증상만으로 구체적인 원인을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CT, MRI, 심전도, 피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다행이지만, 증상이 지속된다면 최대한 원인을 찾아내어야 교정이 가능할 것입니다. 어지럼증 관련 가장 전문적으로 진료를 보는 신경과부터 시작을 하여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전정신경의 염증이나 기능장애가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보통 어지러움이 생기면 우선 전정기관의 이상을 가장 먼저 생각해야합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야하는데 가장 흔한 원인은 이석증입니다.

    이후에 기립성 저혈압 같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저혈압 상황을 고려해야하는데 누워서도 어지러움이 생긴다면 이 가능성은 많이 떨어지겠습니다.

    다음으로 신경과 진료를 통해서 뇌에 문제가 있는게 아닌지 확인을 하게 되는데 뇌 MRI 를 찍어보셨다면 이런 문제도 가능성이 떨어지겠습니다.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보지 않으셨다면 진료를 한번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어지럼증의 원인은 귀나 뇌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움직일 때 심한 어지럼증이 유발된다면 이석증과 같은 귀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이비인후과부터 가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