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현금하고 지갑을 안들고 다니는데 언제쯤 현금이 없어 질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현금이랑 지갑을 안가지고 다닌지 대략 4~5년은 넘은거 같은데요.
앞으로 몇년 정도 지나면 현금이 없어 지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금은 언제 없어질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많은 분들이 현금 사용을 이미 하지 않고 있지만
국가에서는 소수의 사람이라도 현금을 사용하게 되면
현금을 없애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단, 점차 사라질 것은 분명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마다 전산시스템의 관리와 발전이 다르기에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한국이 이분야에 선진국인만큼 그 기준으로 생각을 해보면 2030년 후에나 80%이상이 엄지않을까 합니다.완전히 현금을 발행하지 않고 폐지하기에는 20년이상이 걸리지 않나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현금 사용 비중은 2015년 38.8%에서 2021년 21.6%로 급감했고, 최근에는 10%대까지 떨어졌습니다. 반대로 카드 사용 비중은 같은 기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비대면 거래가 늘고 간편 결제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현금을 찾는 사람은 더욱 줄었습니다.
키오스크를 도입한 무인 매장이나 일부 버스 노선에서는 현금 결제가 불가능해지면서 현금이 없어도 생활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전문가들은 현금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현금 없는 사회는 단순히 현금 사용이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하며 가까운 미래에 현금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여전히 현금 사용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디지털 결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한 비상 수단으로 현금은 중요한 역할을 하기때문입니다.
현금이 완전히 없어지는 시점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몇 년안에 현금 사용 비중은 한 자릿수대로 더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도 현금을 받는 상인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현금이 완전히 사라지기 위해서는 현재 현금을 자주 사용하는 60대이상, 그래고 상점에서 받지 않아야 가능합니다. 최소 30년이상은 더 걸릴 것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에는 수십년이 소모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여전히 현금을 사용하고 필요한 곳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없애긴 어렵습니다
그러나 국가에서 cbdc를 고려하고 있는 것은 앞으로 화폐를 발행시 실제 화폐를 찍기 보다는
가상의 화폐를 발행하여 이를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있기에 서서히 사라져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는 현금이 완전히 없어지기는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 노년층과 인구고령화가 심하고 이들은 현금소비를 일부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며 또 일부 자영업자는 세금이슈로 완전 디지털화폐나 이런 전환을 기피합니다
즉 정부가 원하더라도 국민들의 반대가 심해서 2040년이어도 어렵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현금 사용이 급격히 줄면서 결제에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간편결제 비중이 크게 늘었고, 우리나라 현금 이용 비중은 10년 전 40%대에서 현재 15% 미만으로 낮아졌습니다. 디지털 화폐 실험과 모바일 결제 확산으로 현금 없는 사회가 가속화되고 있지만, 고령층 등 일부 계층은 아직 현금 의존도가 높아 완전 폐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한국은행은 실물 화폐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고 있고, 2030년 전후에 현금 사용이 매우 적어지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현금을 잘 사용안하는 경향이 있는데 현금이 완전히 사라지기는 어려울듯 합니다.
시골 등에서는 아직도 현금이 많은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 완전히 현금이 사라지는 일은 한참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리 빨라도 20년 정도는 현금이 융통될 것이고, 그때도 사실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는 보장은 못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카드, 계좌이체, 모바일결제 등 다양한 대체 수단이 나왔고
실제 현금을 사용하는 곳들이 드물기는 하지만 아직도 여전히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또, 어르신들은 여전히 현금이 편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법정 화폐라는 이유만으로도 현금은 존재할 가능성이 있기도 할 것 같습니다.
언젠가 특정 국가부터 하나씩 현금을 소멸시킨다면 불가한 일은 아니겠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 쓰는 사람은 확실히 줄었지만 아직 완전히 사라질 시점을 딱 짚기는 어렵습니다. 일부 나라는 지폐 사용이 거의 없는데도 법적으로는 여전히 발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모바일 결제나 카드가 일상화됐지만 현금 선호하는 세대와 현금 거래가 필요한 업종이 존재합니다. 또 재난 상황이나 전산 장애 때는 현금이 안전망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술적으로는 몇 년 안에도 가능하겠지만 사회 전반에서 현금을 완전히 없애려면 제도와 문화가 바뀌는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안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일상에서 현금이 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오천원 만원의 경우 아직 시장에 가게 되면 거래를 하는 경우도 있고,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요. 중국처럼 아예 페이가 활성화되어서 거래가 되는 것이라면 모르겠으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그러한 체계가 갖춰지지 않고, 이러한 체계를 갖출려면 리더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특정사람들에 따라서는 이러한 리더기가 없어서 카드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더라구요. 따라서 이것은 5년 이상 걸리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이 완전히 없어지려면 아직은 많은 시간이 걸릴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시골에 가면 신용카드 단말기가 없거나 여러 기타 결제수단을 어려워하는 어르신이 많고 후진국들도 현금 사용을 많이 하기 때문입니다. 전세계가 공통된 결제 수단이 생겨야 가능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이 어느정도는 계쏙 사용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십년 이후에는 어떠게 될 지 모르나
그 내에는 현금이 지속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 수십년이 지나도 아예 현금이 없어지지는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지금도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분들이 많지는 않지만 아직 장년층 분들은 현금거래를 선호하는 분들도 많고 아직 앱이나 그런 결제는 어려워 하는 분들이 많죠
그리고 기본적으로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 등 보안상의 위험을 이유로 현금이 아예 없어질 확률은 낮다고 보시는게 맞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