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아이들에게 해열제먹을때 몇도까지는 그냥 경과를 지켜봐야 하나요?
아이가 밤에 열이날까봐 해열제를 먹이는데요. 이게 또 체온이 살짝 높다고 먹이면 오히려 저체온으로 빠져서
해열제도 먹여야 하는 온도가 있더라고요? 보통 몇도 이상체온이 올라가면 먹여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들 체온이 38도 이상인 경우 해열제 복용을 추천드리지만, 아이들마다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연서 약사입니다.
보통 38도 기준으로 말씀 드리지만 38도가 애매하게 안되더라도 아이가 너무 쳐져 있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아 보이면 복용 시켜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온도가 기준이 되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컨디션이 괜찮다면 먹이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요즘 가이드라인에서는 체온 자체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얘기하고 있어요. 반대로 온도가 많이 안높아도 아이가 축 쳐져있다면 먹이시면 됩니다.
숫자로 접근하자면 39도 이상인데 아이가 잘 놀고 있다? 이러면 사실 체온계의 이상일 확률도 있고요. 이정도면 보수적으로 접근해서 일단 먹이시고 병원에 가시는게 맞을 것 같긴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열이나기 시작하면 37.5도가 넘어갈때 주의를 해주시고 38도가 넘어간다면 해열제를 복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열이 조절되더라도 원인 질환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므로 진료를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약 복용에 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38도 이상이 되면 해열제를 복용 할 수 있습니다. 증상에 따라 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닦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 귀체온기준 38도 이상인 경우를 열이 난다고 보기에 이 기준으로 해열제를 복용하고, 미열일때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제를 시작하면 저체온을 예방할수 있으며, 고열이 나는 경우에는 이부프로펜이나 덱시부프로펜 성분의 해열효과가 더 쎕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셨길 바랄께요
평가 감사드려요 ^^ 항상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아이들의 체온은 성인보다 기본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즉 37도 대에서는 특별히 해열제를 먹이려 하지 마시고, 38도 이상이 되었을 때 해열제 복용을 생각해보실 수 있겠습니다.
다만 해열제 복용을 한다고 하여 저체온증 부작용이 생길 확률은 매우 낮으니 컨디션이 안좋거나 통증이 있는 등에도 해열제를 진통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호현 약사입니다.
37도가 넘는 미열에도 복용시키셔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체온이 38.5 도씨가 넘거나 38도 이상에서 아이가 처지거나 보채면 복용시키시면 됩니다. 다만 40도이상의 고열에는 바로 응급실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아기들은 기초체온이 살짝 높은 편이라서, 성인과 다르게 37.5~38도 까지는 그냥 두고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38도가 넘어가며 아이가 칭얼대고 힘들어한다면 해열제 복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