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1038283
103828323.04.16

안중근 의사 유관순열사 이라고 하잖아요?

독립운동가님들 중에 안중근 '의사' 유관순 '열사' 라고 하잖아요?

이름뒤에 붙는 열사나 의사는 어떤 이유로 붙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의에 대해 비폭력적 방법으로 항거한 사람들을 열사

    반대로 무력 투쟁을 한 사람들을 의사라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사: 맨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


    의사: 무력으로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사와 열사라는 호칭은 대의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됩니다.

    열사는 대의를 위해 개인적 지조를 끝까지 주장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람을 말합니다.

    즉,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분에게 사용합니다

    의사는 대의를 위해 무력적 시도로 자기의 뜻을 주장하다가 죽임을 당한 사람을 말합니다.

    즉, 무력(武力)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에 사용되지요

    따라서 유관순 열사, 안중근 의사라고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사와 열사의 차이점의 주된 핵심은 무력이나 폭력의 사용 여부입니다.

    의사 - 무력 사용한 의로운 사람

    예) 윤봉길 의사(상하이 폭탄 투척), 안중근 의사(이토 히로부미 저격), 이봉창 의사(히로히토 수류탄 투척)


    열사 - 무력 사용하지 않고, 저항하다가 돌아가신 분

    예) 유관순 열사(삼일절 삼일운동), 이준 열사(헤이그 특사)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의사'는 자기 자신의 손으로 일제 요인을 암살하거나, 폭탄 등을 이용해 의거를 한 사람들에게 붙이며, '열사'는 이러한 무장투쟁 등을 하지 않고 비폭력, 불복종 투쟁을 한 사람들에게 붙이는 게 일반적입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사- 나라와 민족을 위해 외세나 독재에 항거하다 굳은 의지를 죽음으로 나타내는 사람을 말하며

    항거의 행동 방식으로 자의에 의해 죽음을 택하거나, 지조를 꺾지 않은 대가로 타의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경우입니다.

    비무력으로 저항하다 순국하신 분 입니다.

    의사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외세나 독재에 항거한 사람으로 비무력이 아닌 목표와 성공, 실패와 관계없이 목숨을 걸고 무력을 동반해 직접 행동함으로 의롭게 죽은 분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중근, 유관순 등의 이름 뒤에 붙는 '열사'나 '의사'는 그들이 독립운동을 통해 목숨을 바침으로써 조국을 위해 희생한 영웅으로 인정받

    았기 때문에 붙여진 칭호입니다.

    '열사'는 '열국사'라는 말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의 식민지 지배 아래에서 조국독립을 위해 희생한 독립운동가들에게 붙여졌습니다.

    '의사'는 그들이 의사 출신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칭호입니다.

    이러한 칭호는 그들이 독립운동의 영웅으로 기억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