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고세율 관세는 왜 진행하는 건가요?
트럼프의 고세율 관세로 주식시장이 아주 난리가 났습니다.
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정책을 펼치는지....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은 기본적으로 세수확보, 무역수지 개선, 미국내 투자 유치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보이며, 미국에 비해 상대국의 관세가 높다는 것을 집중적으로 문제삼는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생각을 100% 확인할 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협상의 문을 열어놓은 만큼 미국이 원하는 수준의 여러가지 정책적 카드를 제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세율 관세 정책은 주로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와 자국 산업 보호를 목표로 했습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큰 적자를 보고 있다는 점을 들어, 중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수입을 줄이고 미국 내 제조업을 되살리겠다는 전략이었습니다. 또한, 기술 탈취와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중국뿐 아니라 EU,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에도 철강·알루미늄 등 특정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켜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관세가 오르면 소비자 물가도 오를 수 있어, 미국 내에서도 비판이 많았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 보호 효과는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보복 관세와 무역 전쟁으로 이어져 세계 경제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은 단순한 산업 보호를 넘어 경제정치적 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주요 목표는 무역적자 축소와 제조업 일자리 창출이지만, 기술 패권 유지와 중국 견제라는 안보적 차원도 강조됩니다. 특히 반도체AI·전기차 등 첨단 산업 보호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유도하며, 관세 수입으로 감세 정책을 지속하려는 의도도 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러스트벨트 지역 유권자 결집과 재선을 위한 메시지 전달이 중요한 배경입니다.
미국은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해 상대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 합니다. 달러 강세 유도와 해외 기업의 미국 내 생산 유인이 숨겨진 목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소비 위축 우려가 큽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 성장률 감소를 경고하며, 미국 내 GDP 하락과 고용 감소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이는 단기적 세수 확보와 정치적 이익을 위해 경제적 타협을 감수하는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