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영험한치타246
영험한치타246

무역 시장 전체가 흔들릴 때 실무팀은 수출 전략을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최근 글로벌 관세 리스크가 커지면서 매출 예측도 어렵고 오더 자체가 줄어드는 분위기인데, 수출 대상국이나 품목 구성을 어떻게 리셋하는 게 현실적일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예전처럼 전체 시장을 잡으려는 시도보다는, 반응 빠른 쪽 위주로 정비하는 게 낫습니다. 느리게 반응하는 유럽 쪽보다 동남아, 중남미처럼 관세 민감도 낮고 통관 빠른 국가 중심으로 타겟을 바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품목도 마찬가지입니다. 생산 리드타임 길고 사양 민감한 제품은 잠깐만 외풍 불어도 리스크가 커져서, 공정 단순하고 납기 짧은 쪽으로 옮기는 게 실무에서 체감상 효과가 더 큽니다. 기존 거래처 중심의 수동 대응은 오래 못 가고, 오히려 b2b 수요 변동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틈새 수요 노리는 게 더 맞는 흐름으로 보입니다. 예전 같으면 전략 회의로 정리하던 걸 요즘은 현장 단위에서 빠르게 리셋해버리는 사례도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매출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 해당 부분을 최대한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야됩니다. 현재로서는 관세부과 시기에 맞게 최대한으로 선적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듯 합니다. 그리고 수출국의 경우 미국 외 타 시장에 수출을 늘릴 수 있다면 최대한으로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글로벌 관세 리스크로 기존 주요국 수출ㄹ이 감소하는 만큼 관세부담이 적은 신흥시장이나 대체 시장을 적극 탐색하는 전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단 새로운 수요처나 틈새시장 파악을 위해 해당 시장에 대한 진출전략 자료를 검토하고 실제 자사 제품에 대한 수출이 가능할지 여러 거래처와의 비즈니스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