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주식 연 운용보수는 어떻게 가져가나요?
ETF들은 연 운용보수가 있잖아요.
이걸 어떻게 가져가나요?
운용보수를 내기 위해 계좌에 한국ETF는 한국돈, 해외ETF는 달러를 가지고 있어야 하나요?
잘 몰라서 만원과 10달러를 채워놓은 상태인데 괜한 행동인지 잘 모르겠네요.
저처럼 계좌에 돈을 좀 채워넣어야 하는지 아닌지....운용보수 시스템을 몰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ETF 주식 운용보수에 대해 잘 아시는분 꼭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연 운용보수는 계좌에서 별도로 현금을 준비할 필요 없이 ETF가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정산됩니다. ETF 운용사들은 보수를 직접 투자자에게 청구하지 않고, ETF의 순자산가치(NAV)에 반영해 보수를 차감하는 형태로 관리합니다.
즉, 매일 약간씩 나누어 계산된 운용보수는 ETF의 자산가치에 영향을 주며, 시간이 지나면 ETF의 가격에 자연스럽게 반영됩니다. 이는 투자자가 따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되도록 설계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보수를 납부하기 위해 계좌에 별도의 금액을 보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계좌에 있는 만 원이나 10달러는 보수 차감과는 관련이 없으며, ETF를 보유하는 것만으로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ETF의 운영 보수는 별도로 내거나 세금처럼 내는 방식이 아니라 ETF 가격에 녹아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수수료만큼 가격이 덜 오르는 것입니다. 별도로 수수료 걱정은 안 하셔도 되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ETF가격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나 미국증시 지수ETF라고 했을때
이 지수가 지금 100이고, 운용보수가 1%라면 ETF가격이 99로 됩니다. 이렇게 이미 반영되어 있어서 추가로 더 빠져나가고 이런게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운용보수는 ETF자산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며, 별도로 계좌에 추가 자금을 준비할 필요는 없어요 보유화 통화와 관계없이 자산에서 차감이 도ㅓㅐ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연 운용보수는 ETF의 총 자산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비용은 이미 ETF 가격에 포함되어 있어, 별도로 계좌에 돈을 채워 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운용보수가 0.1%인 ETF의 경우, 가격이 1000원이면 실제로는 999.9원으로 거래됩니다.
한국 ETF는 원화로, 해외 ETF는 달러로 자산을 보유해야 하지만, 운용보수를 내기 위해 사전에 특정 금액을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계좌에 만원과 10달러가 있다면 이는 투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준비일 수 있지만, 운용보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ETF를 선택할 때는 운용보수를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운용보수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로
현금 등을 보유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자동적으로 가격에 반영이 되어 있기에
신경쓰실 필요가 없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