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폐동맥고혈압경계성입니다.
경계성폐동맥고혈압진단입니다ㅜ 평소에답답함이있어서 심촘파를했는데요 rvsp37 mpap 24.6 입니다. 미세한 삼천판역류와 좌심실의 약간의비대소견이보이고 현재혈압약복용중입니다. 평소음주가심했는데ㅜ 일시적일수있을까요. 저정도수치는 심도자법까진안한다하던데 제가쓴의견으로 폐압수치가높은 원인이궁금해서요ᆢ부탁드립니다ㅜ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폐동맥 고혈압의 진단은 보통 심도자법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비침습적인 방법인 심장 초음파를 통해 추정할 수도 있습니다. RVSP는 우심실이 수축할 때 폐동맥으로 보내는 혈액의 압력을 나타내며, 정상 범위는 보통 20-30 mmHg입니다. RVSP가 35 mmHg 이상이면 폐동맥 고혈압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mPAP는 폐동맥 내의 평균 압력을 의미하며, 정상 범위는 보통 10-20 mmHg입니다. mPAP가 25 mmHg 이상이면 폐동맥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RVSP 37과 mPAP 24.6은 경계성 폐동맥 고혈압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미세한 삼첨판 역류와 좌심실의 약간의 비대가 보인다는 소견으로 미루어 볼 때, 이는 폐동맥 고혈압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폐동맥고혈압은 유전, 약물이나 독소, 선천성 심장질환, 전신성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루프스 등 매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특발성인 경우도 흔합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자율신경계를 자극하는 다이어트약을 복용한 여성들에게서 폐동맥고혈압이 발생해 일부 약물이 판매 금지되었으며, 주로 식욕억제제 계열의 다이어트약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게서 발병한 사례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남성보다는 여성, 특히 30-40대의 젊은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입니다. 폐동맥고혈압이 의심되는 경우, 환자는 여러 검사를 받게 되는데, 먼저 심장과 폐 사이를 연결하는 혈관의 압력이 높아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 다음으로 폐동맥고혈압의 중증도를 확인하는 검사, 마지막으로 폐동맥고혈압을 유발한 원인 질환을 확인하는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심전도나 흉부 X-선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심장초음파와 우심도자술이 가장 널리 활용됩니다. 심장초음파는 통증이 없고 신속하며 편리하여, 처음 진단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상태 평가에도 유용합니다.
우심도자술은 혈관을 통해 가느다란 관을 넣어 폐동맥의 압력을 측정하는 검사로, 폐동맥고혈압의 유무와 중증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 확진을 위해서는 필요하기는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