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이 얼마이상이면 대기업으로 보나요?
우리나라의 기업은 크게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분류되는데요. 시가총액이 얼마나 크다면 대기업으로 인정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기업은 시가총액 기준으로 분류하지 않습니다. 자산 총액과 매출액 등으로 분류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재무제표 기준의 자산총액이 5조원이상되는 기업 집단을 대기업으로 분류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
법적으로도 해당 구분은 정해진 수치가 있습니다.
소위말하는 대기업과 법적기준으로 분류하는 대기업을 살짝 나눌 수 있는데요.
법적기준으로는 대기업의 자산총액은 10조원이상, 중견기업은 5천억이상. 중소기업은 5천억원 미만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실무적인 관행으로는 해당 금액을 시가총액 기준으로 분류해서 구분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소위 일반인들이 말하는 대기업은 여기에서 어느정도 인지도도 고려하게되고, 연혁, 산업의 크기등을 고려해서 인식수준이 나뉘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는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시가총액 10조원이상 이라면 일반적인 대기업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서 대기업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산 5조원 이상인 기업 집단을 기준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에선느 시총 2조~5조원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대기업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코스피200등 주요 지수 편입 여부도 참고 되고 있습니다. 단 법적 기준은 시총이 아닌 자산 기준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대기업으로 분류되려면 자산총액이 10조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명확한 법적 기준이 없지만,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기업들이 대부분 시가총액도 수조원에서 수십조원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가총액으로 구분하지 않고, 자산총액, 매출액 등으로 분류합니다.
대기업 기준은 자산총액 10조 원 이상, 중견기업 기준은 3년 평균 매출 1,500억 원 초과·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 중소기업은 그보다 작은 규모를 가진 기업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집단의 자산 총액이 5조원 이상이면 공시대상기업집단이 되며, 10조원 이상이면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시총이 오천억이상이면 코스피 시장의 종목중에서 튼튼한 기업이라고 평가하는것같습니다. 이러한 시가총액의 경우 유통주식수와 주가를 곱한것으로 코스피의 종목은 보다 안정적인 종목이 코스닥시장에 비해 많은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주식 투자전에 시가총액을 확인하고 투자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은 시가총액이 아닌 자산총액 5조 원 이상 기준으로 정해져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기업집단이 대기업으로 간주돼요.
시총이 커도 자산이 5조 원 미만이면 대기업으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대기업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소속회사로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인 법인의 피출자기업이라고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