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힘센사자51
힘센사자51

병원입원시 격리실로 가는 경우는 어떤경우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80

몸이 안좋아서 응급실을 갔는데 일단 격리실에 입원을 시키는데 격리실로 입원을 시키는 경우는 어떤경우에 그러는건지 궁금합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격리실의 경우, 코로나 확진이 되었거나 혈액 수치가 낮아 입원이 필요한

      분들에게 주로 격리 입원을 권고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서로 간의 감염을

      막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격리실에 격리가 되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가장 흔한 경우인데 전염성이 강한 질환이 의심될 경우입니다. 특히 호흡기계 전염성 질환일 경우에 격리실로 가게 되는데 타인에게 전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환자의 면역력이 낮아서 타인에게 부터 전염성 질환이 옮을 우려가 있을 경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코로나 의심 환자인데 입원이 필요할 경우 일단 확진검사 결과가 나올때까지 격리실에 입원시키는 병원이 많습니다.

    • 격리실에 입원 시키는 경우는 주로

      1) 전염성 우려가 있는 경우 ( 요즘 코로나 같은 호흡기 질환)

      2) 갑작스런 활력징후 (혈압 등) 응급 상황 / 신체적 노출 등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비해야 하는 경우

      3) 증상이 복합적?인 경우, 담당과가 정해지지 앟은 경우 등이 있을 수 있겠네요

      예외적으로 정신과 입원 예정인 경우도 가능성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