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24.02.08

과학에서 말하는 엔트로피의 정의는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entropy 얘기는 몇번 본 적은 있는 것 같은데요,

과학 지식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 입장에서 이에 대한 정의를 어떤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으면 좋은지 그에 대한 정의를 알기 쉽게 전문가의 설명을 통해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는 열역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시스템의 무질서도를 나타냅니다. 엔트로피는 분자의 움직임, 에너지 분배, 확률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엔트로피가 높을수록 시스템은 더 많은 무질서한 상태를 가지며, 엔트로피가 낮을수록 더 질서 정연한 상태를 가집니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분산과 열의 흐름에 관련된 개념으로, 열역학 제2법칙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설명하고, 열역학적 프로세스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는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간단하게 말하면 시스템의 무질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엔트로피가 높을수록 시스템 내의 무질서가 많아지고 낮을수록 질서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물이 얼어있는 상태에서 녹아서 액체가 되는 것은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과정입니다. 또는 무질서한 분자가 서로 결합하여 안정한 분자로 변하는 것도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입니다. 이렇게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며 열역학 정보이론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엔트로피가 높은 상태는 무질서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하며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는 질서가 있고 예측하기 쉬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를 소모하고 시스템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엔트로피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에너지 소모에 관련된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는 자연 물질이 변형되어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는 현상을 말랍니다. 흔히 '무질서도'라고도 말하는 엔트로피는 원래 온도, 압력, 엔탈피 등과 같은 열역학적 성질의 하나로, 열전달량을 절대온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7%94%ED%8A%B8%EB%A1%9C%ED%94%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