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보통 아이가 말문이 트이는 시기가 생후 몇 개월부터인가요?

동생 딸이 현재 30개월인데 아직 엄마 아빠밖에 하지 못한다고 하네요.

다른 아이들에 비해 말이 늦는다고 하던데,

정상적인 경우 몇개월부터 말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마다 언어가 발달하는 속도나 모두 다릅니다. 만 10개월에 말문이 트이는 아이도 있는 반면 30개월 가까이 말을 못하다가 갑자기 말문이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문이 트이는 시기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는 생후 10~11개월경에 의미 있는 첫 단어를 말하게 됩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이 시기는 전 언어단계와 언어단계의 과도기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 시기에 진정한 언어가 시작되면서 영아의 ‘소리내기(쿠잉)’ 놀이는 의사소통의 의도를 가진 목적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30개월인데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하지 못한다면 발달센터에 방문해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의 말이 트이는 시기는 보통언어발달과정순으로 차례대로 생각해보자면 아기들은 생후 4~6개월정도가 되면 본격적으로 옹알이를 하게 됩니다. 보통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되는건 빠르면 10개월~ 12개월 돌 전후로 단어2-4개정도를 말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점진적으로 단어 습득력을 높여가며 아는 단어들이 증가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약 24개월 두돌 정도가 되었을 때에는 빠른 아이들은 문장으로 부모님과 대화가 통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금언어발달은돌때의발달이며

    30개월이면18개월정도는뒤처진것으로보이며

    언어발달검사를하시는게좋아보이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두돌이후에 언어적 발달이 폭발적으로 늘수있으며

    이떄 두언어를 붙혀서 문장을 만들거나 할수있으며

    현재로써는 조금많이 늦는것으로 볼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말문은 12개월 부터 엄마.아빠 라고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

    지금 아이가 30개월 인데 엄마.아빠 말 밖에 하지 못한다는 것은 언어지연이 심합니다.

    아이가 말이 트이는 시기에 적절한 언어자극을 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언어자극 방법은 책을 많이 읽어주고,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의 언어가 너무 지연된 것 같으니 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말문이 트이는 시기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경부터 발성 연습을 시작하여 생후 12개월이 지나면 한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되고, 24개월 무렵에는 두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구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