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4.04.22

노산은 몇살 이상 부터 노산이라 하나요?

나이
33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요즘 결혼도 다들 늦게하고 출산도 늦게하는 시대 인데요

옛날엔 30만 넘어도 노산이라고 한걸로 아는데

요즘은 몇살 이상 출산할 경우 노산이라고 부르나요?

노산의 정의가 있나요?

그리고 나이많을때 애 낳으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초산 연령이 점차 늦춰지는 추세입니다. 과거에는 35세 이상 출산을 고령 임신으로 분류했지만, 최근에는 출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그 기준이 모호해졌습니다.

    일반적으로 35세 이상 초산부를 고령 산모로 분류하지만, 산모의 건강 상태와 산전 관리 여부에 따라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령 임신은 자연 임신 가능성이 떨어지고, 유산, 조산,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등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또한 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등 염색체 이상아 출산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아이에게는 저체중아, 선천성 기형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통계적 수치일 뿐, 적절한 산전 관리와 건강 관리를 받는다면 건강한 아이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고령 임신 시에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산전 진찰, 기형아 검사, 산모의 기저 질환 관리 등을 통해 위험 요인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임신 전후로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노산은 만 35세 이후의 임신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시기부터 염색체 이상을 가진 아이를 가질 위험성이 많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이 다운증후군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정의하는 기관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는 만 31세부터 노산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국산부인과학회는 만 35세를 기준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노산은 여러 요인에 따라 정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35세 이상에서 첫 출산을 하는 경우를 노산이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강한 출산 연령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정의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일부 의학 전문가들은 35세 이상이 아닌 40세 이상에서 첫 출산을 하는 경우를 노산이라고 정의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노산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전적 위험: 노산으로 임신하는 경우 염색체 이상이나 유전적 질환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임신 합병증: 노산으로 임신하는 경우 임신 합병증(예: 태반 조기 분리, 고혈압, 당뇨병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태아 건강: 노산으로 임신한 경우 태아의 성장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출산 후 합병증: 노산으로 출산한 경우 출산 후 합병증(예: 자궁 축소, 출혈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부정출산 및 난임: 노산으로 임신한 경우 부정출산이나 난임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