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향기로운딱따구리238
향기로운딱따구리23824.01.24

아이들 사교성은 교육을 시켜야 하는 건가요?

저희 아이가 평소에 보면 사교성이 너무 없는 거 같은데요 그리고 성격도 많이 소심해서 더욱더 그러는 거 같은데 이런 거는 교육을 시켜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사교적이고아이와소통이잘되고관계가좋다면

    사교성교육같은건안해도됩니다

    아이의행동이나성향은부모에따라다를수있으며

    부족한것은 인위적으로교육을하셔야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사회적 기능이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역활극이나 책등을 통해서 알려주시는것도 좋을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교성은 교육으로는 키우기가 쉽지 않도 부모님이 먼저 나서서 키워주셔야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사교성과 성격은 타고난 성향과 환경 요소에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꾸준한 사회 활동 및 친구와의 소통을 통해 사교성을 개발하고 적절한 도전과 경험을 통해 성장하도록 격려해주세요. 하지만 성격도 일부 아이들의 개성이므로 강요하지 말고 이해하며 지원해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5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사교성 교육을 어떻게 해야하는지가 궁금하군요.

    부모님이 먼저 타인과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모델링이 되어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낯선 사람과 마주하였을때 엄마가 자신있게 대답하는 모습,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준다면 관찰력 있는 아이들에게 우리 부모님이 낯선 타인과 교류하는 방법을 보며 배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변에 사교성이 없는 친구들 즉 소심한 친구들이 있다면은 그 친구들끼리 붙여 놓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본인과 비슷한 친구들들끼리 모이면, 아이도 천천히 마음을 열 수 있고 그친구도 자기와 비슷하다고 생각이 되기 때문에 조금 더 마음을 여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사회적 발달에서 놀이의 영향력이 큽니다. 놀이를 통해 인지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을 발달시키고 학교 입학 전 어린 아이들의 경우 여러 놀이를 통해 사물을 이해할 뿐 아니라 문제 해결하는 법을 익힐 수 있으며 재미있는 놀이를 통해 아이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부드럽고 건강한 사회성을 길러주는 데 좋은 영향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소심함은 아이가 가지고 있는 기질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억지로 아이의 기질을 바꾸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억지로 성격을 변화시킬려고 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친구들과 상호작용을 하길 바라신다면 가정에서 역할극을 하면서 친구와 상호작용 하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상황에 맞는 행동과 언어를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친구들과 어울리는 자리를 자주 만들어 보기 바랍니다.

    키즈까페 같은 곳에도 자주 가면 아이들끼리 자주 어울려서 놀이를 합니다

    집으로 친구를 초대해서 함께 놀게 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어린 영.유아들은 혼자서 놀이 하는 것을 즐깁니다.

    어느 정도 자라면, 친구와 협동해서, 놀이를 하며, 사회성을 키워 나갑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교성이 없는 아이들의 경우 사교성에 대하여 특별히 교육하는

    것보다 다양한 경험이나 체험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사교성을 익히게

    하시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박물관이나 체험관 등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또래 아이들을 자연스럽게 만나게 하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