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건전지로 불을 붙이는 장면들을 가끔 보는데요. 정말 불이 필요한데 없을때에 사용하라고 나오는데요. 어떤 원리로 불이 붙는지 궁금합니다.

건전지로 불을 붙이는 장면들을 가끔 보는데요. 정말 불이 필요한데 없을때에 사용하라고 나오는데요. 어떤 원리로 불이 붙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저항이 큰 물체에 전류가 흐를 때 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건전지와 같은 전원에 +와 -극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릅니다. 이 경로에 철사나 철수세미 등을 연결하면 저항의 역할을 하게 되어 높은 온도로 발열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전류의 제곱과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가 크고, 저항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을 이용해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건전지로 불을 붙이는 원리는 전기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는 것 입니다. 보통은 건전지와 철사 또는 알루미늄 껌 호일 같은 걸 같이 사용하는데요. 이 때 전기가 철사나 얇은 호일을 통과하면서 저항이 생기고, 그 저항 때문에 열이 나서 불꽃이 생기는 것 입니다. 특히 스틸솜 같은 것은 저항이 크고 가늘어서 건전지를 대면 순식간에 뜨거워지며 불꽃이 생기고 불이 붙습니다. 그래서 캠핑이나 비상 상황에서 불을 피울 때 쓰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조심해야할 점은 너무 위험하다는 것 입니다. 순간적으로 온도가 수백도 까지 올라갈 수 있고, 잘못하면 화상이나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극을 활용하여 가능하게 됩니다.

    이는 건전지 양쪽 극에 알루미늄 종이를 연결합니다.

    종이를 연결 할때는 종이 가운데를 좁게 잘라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얇게 잘린 부분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여 연소가 되기 시작합니다.

    이 방식은 질문의 내용처럼 생존 상황이나 응급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지만, 과열과 화재 위험이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건전지로 불을 붙이는 원리는 도선을 건전지 양 극에 연결해 전류가 흐르게 하면 도선에 전기 저항이 생기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을 주변의 종이 휴지 솜 등 가연성 물질이 발화하는 것입니다 특히 9V 건전지처럼 전압이 높은 경우 금속 도선이나 철 수세미를 통해 쉽게 열을 내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건전지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만들수 있는데 저항이 큰 도체에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떄 발생하는 발열로 인해 주변에 가연성 물질에 불을 붙이는 원리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건전지에 +극과 -극을 통해서 불을 붙이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는 전압이 높은 +극과 전압이 낮은 -극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수 있게하고 이때 은박지등을 두면 전류가 흐르면서 저항이 발생되면서 열이 발생되고 그로 인해서 불이 붙는 원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