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03.26

과거에 한자는 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썼나요?

지금은 글씨를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씁니다. 그런데 과거에 한자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쓰던데 왜 불편하게 그렇게 쓴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한자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쓰기 시작한 것은 종이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문자를 쓰기 시작한 것은 약 4,000년 정도가 됩니다.

    하지만 종이가 발명된 것은 겨우 2,000년도 안되었습니다.

    그럼 종이가 없던 때는 글씨를 어디에 썼을까요?

    처음에는 거북이 등의 딱딱한 껍데기나 동물의 뼈에다 글씨를 썼습니다. 이렇게 남긴 글자를 갑골문자라고 부릅니다.

    그 후에 발명된 것이 죽간이라고 하는 대나무책입니다.

    죽간이란 대나무를 가늘게 잘라서 여러 개를 지금의 김밥 마는 것처럼 말아놓은 것입니다.

    당연히 세로로 쓰는 것이 편할 수밖에 없었고 보통 사람들은 오른손잡이가 많으므로

    대나무 두루마리를 왼손으로 왼쪽으로 펼쳐가며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글을 세로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서양에서는 가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을 쓰는데,

    이것도 종이의 역사에서 기인된 것입니다.

    서양은 초기에 펜으로 가죽에 글을 썼습니다.

    질의자님도 가죽이나 비닐 등에 글씨를 써본 경험이 있다면 아시겠지만 고정이 잘 안됩니다.

    왼손으로 잘 당겨 잡아주어야 오른손으로 글을 잘 쓸 수 있습니다.

    왼손이 지탱하고 있는 반대방향으로 글을 써야 그나마 편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왼쪽에서 가로로 오른쪽 방향으로 글을 쓰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