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3.05.09

제국주의가 막을 내리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군사력이나 경제력을 바탕으로 다른 나라 땅을 빼앗아 식민지로 만드려는 제국주의는 1900년대 초까지만 해도 꽤 강성했는데, 어떤 사건을 계기로 막을 내리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국주의는 지난 4~5세기 동안 세계 역사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요소입니다.



    제국주의로 인해 아시아, 아프리카, 인도, 남 아메리카 등이 유럽의 식민화가 되었고, 세계 각국의 전쟁을 유발했으며,유럽에서 두차례의 세계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문명이 황폐해지고,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으며, 도덕과 윤리는 땅에 떨어졌습니다.



    '제국주의'는 강대국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우월한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요소를 이용하여 약소국의 토지, 노동력, 원자재, 농산물, 시장을 수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도 일제 치하에서 농산물 수탈을 경험한 바 있고, 2차대전 당시의 독일은 점령지에서 경제적 수탈을 자행했고,포로 수용소에서 강제 노역을 통해 노동력 착취를 하였습니다.



    제국주의는 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전인 고대로부터 있어 왔는데 주로 피정복민을 노예화하고, 세금이나 공물 등을 바치게 함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취했습니다.



    유럽에서는 16세기부터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18세기에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대량의 원료와 노동력, 시장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약소국을 선점하려는 제국주의 경쟁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20세기 이후에는 대기업의 자본축적이 이루어지면서 공산품뿐만 아니라 기계, 기술, 투자, 차관의 형태로 자본수출이 이루어졌고,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한 생산기지 이동이 일어났습니다.



    자본주의는 그 자체에 팽창주의적인 동인을 가지고 있는데, 자국에서 투자한만큼 기대한 이익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이익을 좇아 자본과 기술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로 옮겨다닙니다.



    자본주의는 또한 치열한 경쟁을 유발하기 때문에 저렴한 생산기지와 넓은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은 정부에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게 됩니다.



    그 결과 타국을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기 위한 전쟁(베트남 전쟁)이 일어나고, 적국(중국)과도 수교·협력을 맺게 되며, 수 많은 비밀 공작이 수행됩니다.



    현재 400개의 대기업들이 비 공산권의 세계 자본의 80%를 소유하고 있고, 제3세계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서방 기업들은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의 천연자원의 75%를 통제할 권한을 가지고 있고, 후진국의 낮은 임금과 노동과 환경에 대한 낮은 규제 덕분에 많은 이윤을 남기고 있습니다.



    이처럼 자국 내 이익은 줄어들고 타국에서의 이익은 늘어나기 때문에 국가를 초월한 다국적 기업이 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제국주의는 대기업들의 이익을 늘려 주었지만 상대적으로 가난한 국가의 빈곤과 정치적 혼란을 증대시켰습니다.



    제 3세계 국가들은 원래 대부분 풍부한 자원과 농산물로 별 어려움 없이 지냈었은데 서방 기업의 수탈이 진행되면서 국내 산업은 쇠퇴하였고, 실업자는 늘어났으며, 복지혜택은 줄어들고, 기아와 가난은 증대되었습니다.



    각 국의 자급자족 시스템과 전통산업은 무너지고, 대기업의 하청공장 내지는 집단농장으로 전락하게 되었습니다.



    제 3세계의 부는 천연자원의 수탈, 차관의 이자를 갚기 위한 세금, 외국인 소유 부동산에 대한 임대료, 과중한 로얄티, 고가의 공산품 강매 등의 방법으로 외국 대기업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식민화된 국가는 국민을 위한 정책을 세우지 못하게 방해 받고, 외국 대기업에게 유리한 정책을 세우게 되며,빚에 허덕이고, 스스로 살아 나갈 수 있는 산업의 발전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