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사람은 걸을때 양팔을 앞뒤로 움직이나요?
제목 그대로 걸을때 왜 양팔을 움직이는걸까요.
특히 발과 팔이 반대로 움직여요.
왼발이 나가면 오른팔이 나가고
오른발이 나가면 왼팔이 나가는...
걸을 때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장 큰 이유는 걸을 때 한 발을 내디디면 골반과 몸통이 자연스럽게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팔을 가만히 두면 이 회전력 때문에 몸이 옆으로 크게 흔들리거나 비틀리게 됩니다.
이때 팔을 다리와 반대 방향으로 흔들어주면, 팔의 움직임이 다리로 인한 회전력을 상쇄시켜 몸의 중심을 똑바로 유지하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팔을 흔들지 않고 걸으면 팔을 흔들 때보다 약 12%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됩니다. 따라서 팔 흔들기는 불필요한 근육 사용을 줄여 걷는 것을 더 수월하게 만드는 것이죠.
사람이 걸을 때 팔을 앞뒤로 흔드는 것은 신체의 균형을 잡고 보행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입니다. 발을 내디딜 때 몸통에는 나아가는 방향과 반대되는 회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반대쪽 팔을 앞으로 뻗으면서 그 힘을 상쇄시켜 몸이 안정적으로 직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오른발이 앞으로 나아갈 때 생기는 몸의 회전력을 왼팔이 앞으로 움직이며 균형을 맞추는 원리입니다. 이처럼 팔을 흔드는 동작은 불필요한 몸통의 회전을 줄여주어 에너지를 절약하고,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걸을 수 있게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사람이 걸을 때 양팔의 앞뒤로 움직이는 이유는 균형을 잡기 위해서입니다. 이동을 할 때 몸의 무게 중심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 몸의 무게 중심이 움직일 때 균형을 잡기 위해 팔을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가 걷는 동안 팔을 앞뒤로 흔드는 것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생체역학적 효율과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우선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균형 유지'입니다. 걸을 때 다리는 큰 진동과 회전 운동을 만드는데요, 이때 팔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체의 흔들림을 상쇄시켜 몸의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만약 팔을 움직이지 않고 걸으면 상체가 좌우로 크게 흔들려 불안정해집니다.
또한 에너지 효율성과도 관련이 있는데요, 연구에 따르면 팔을 흔드는 것이 오히려 에너지 소모를 줄여주는데요, 다리가 앞으로 나갈 때 반대쪽 팔이 함께 움직이면, 몸 전체의 회전 모멘트를 줄여주어 불필요한 근육 사용을 최소화합니다. 즉, 같은 거리를 걸어도 팔을 흔들면 덜 피곤하고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