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오드리델번
오드리델번23.02.07

별은 어떡해서 반짝 이는 걸까요 이뻐요?

별은 어떡해 반짝이는 걸까요?

밤하늘을 보면 반짝반짝 이뻐요

하지만 별 종류 별 크기도 다틀린데

하나같이 다 반짝여서 어째서 반짝이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빛이 공기 중에 있는 먼지에 부딪혀 반짝이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이 아닙니다

    빛이 어떤 물질을 통과할 때는 진행하는 각도가 변하고 진공인 우주 공간으로부터 지구 대기로 들어오는 별빛은 굴절을 하게 됩니다

    공기의 밀도가 변하면 별빛이 휘어지는 정도도 변하고 별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까지는 여러 차례 굴절률이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반짝이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스스로 반짝이는건 아닙니다. 지구의 대기가 움직이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겁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과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항성의 빛을 반사하는 행성으로 구분됩니다. 하지만 육안으로는 구분할 방법이 없죠. 그래서 똑같이 반짝여보이는겁니다.


  • 스스로 빛을 내는 별도 있고 태양에 반사되어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달이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에 반사된 면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외에 멀리 떨어진 별들이 반짝 빛나는 경우는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 반응으로 인해 반짝 빛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밤하늘에 보이는 별은 대체로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인 항성이며 태양계내에 있는 행성도 가까이 있어 밝게 보입니다. 그러나 반짝이는 이유는 별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지평선에 가까운 별일수록 더 많은 대기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 산란의 정도가 심하게 됩니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등 대기 상태가 불안정할 때는 더욱 반짝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