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역학에서 비체적이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공업 열역학을 공부 중에 있습니다. 공업 열역학 책에서 비체적이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이 애매모호하게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비체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공업 열역학에서 비체적(specific Volume)은 물질의 단위 질량당 부피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특정물질 1kg이 차지하는 부피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전체 부피를 물질의 총 질량으로 나눈값(V/m)으로 계산됩니다.
비체적은 밀도(density, 단위 부피당 질량)의 역수 관계에 있습니다. 즉, 비체적 =1 /밀도(ρ)입니다.
열역학에서는 온도, 압력과 함께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태량 중 하나이며, 물질의 양에 관계없이 고유한 값을 가지는 세기 성질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열역학에서는 여러가지 물성이 나오는데요
밀도, 비체적, 비중, 비중량 등 생소한 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비체적은 일단 체적 즉, 부피를 말하는 용어인데요.
단위를 보면 키로그램당 미터 3승으로 나타나는데
이 의미는
단위 질량당 체적을 말합니다.
수식으로는 비체적(v) = 부피(V)/질량(m) 입니다.
밀도의 역수 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위도 밀도의 역수가 되지요.
비체적은 물질의 단위 질량당 부피를 의미하는데 특정 질량의 물질이 차지하는 부피를 질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비체적은 밀도의 역수로 이해할 수 있으며 밀도가 클수록 비체적은 작아집니다. 공업 열역학에서 비체적은 상태 방정식과 열역학적 특성을 계산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문가입니다.
비체적이란 단위 질량의 물체가 갖는 부피 입니다. 밀도의 역수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단위는 m^3/kg 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열역학에서 비체적은 단위 질량당 차지하는 체적의 말하며 주로 기체의 상태 변화를 분석할때 사용되게 됩니다.
비체적은 물질의 총 체적을 그 물질의 총 질량으로 나눈 값으로 단위는 m³/kg 또는 cm³/g 를 사용합니다.
압력이나 체적 온도를 표현할때 사용하여 나타내며 비체적은 질량을 연속체로 가정할 수 있는 최소 체적과 관련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