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에서 살수있는 물고기들은 어떻게 살수있는건가요?
심해에서 수압이 쎈곳에서 물고기들이 어떻게 살아가는건가요? 그러한 물고기가 수압에서 버틸수 있는 비밀이 따로 있는건지 알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물고기들이 높은 수압을 버티는 이유는 동일한 수압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물고기들은 물을 마시면서 동일한 압력을 유지합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도 같은 기준 1기압을 유지하므로 물고기도 역시 물을 마시면서 숨을 쉬기때문에 자신몸과 주변의 기압이 동일해서 버티는 겁니다. 우리도 마찬가지로 몸가 주변기압이 기준인 1기압으로 같아서 변화를 못느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어들은 일반물고기와는 외형이 특이하다는 점 외에도 다른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그 중 한가지는 부레입니다.
보통 물고기는 부레에 기체가 가득 차 있어서 물 밖으로 나오는 경우 부레가 크게 부풀기도 합니다.
하지만 심해어의 부레는 체액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덕분에 물 밖으로 나오더라도 부레가 크게 부풀지 않습니다.
또 다른 한가지는 심해어는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는 세포 사이의 물질전달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불포화지방산은 막구조에 상당히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압력을 견디는데 유리합니다.
수압은 수심이 10m 깊어질 때마다 약 1기압의 압력이 증가하는데요, 전문 스쿠버 다이버가 산소통 장비를 들고 잠수할 수 있는 깊이도 기껏해야 30m 안팎이지만 수심 5000m ~ 10000m의 심해에도 많은 생명체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심해저가 시작되는 200m에서는 20기압이 작용하는데 쉽게 말해 200m의 물기둥이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것인데요, 이러한 높은 압력을 생명체가 견딜 수 있는 이유는 물과 자신의 몸이 균형을 이루도록 몸속에 물을 채워 넣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고기의 특징은 물에 뜨는 부레인데 기체가 있으면 자신의 몸이 수압으로 인해 찌그러지기 떄문에 심해 물고기는 수압을 견디기 위해 부레를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는 아직 현재의 과학기술로도 미스터리인 부분이 많습니다.
심해어들이 사는 환경은 수압이 매우 높고 빛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고, 먹이도 적기 때문이죠.
심해어는 수압에 적응하기 위해 일반 물고기와 다른 몸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몸 안에 공기가 아닌 물을 채워 넣거나, 부레가 아닌 지방낭이라는 주머니를 통해 수압을 이겨내고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뮬고기들은 태어날때부터 심해에서 태어나 높은 수압에 익숙합니다
오히려 뭍으로 나오면 수압이 낮아져 못살게됩니다
심해로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높은 수압을 받기 때문에,
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바다 위쪽에 사는 생물과 다른 구조를 갖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몸속에 빈 공간 대신 물을 채워넣어 외부의 압력과 균형을 이룹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
그리고 고압에서 물질 전달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의 생물은 극도로 열악한 환경에 진화 및 적응되어 왔습니다. 이 생물들이 견디는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심해의 물고기들은 수압을 이겨내기위해 압력에의해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흐물흐물한 연골이나 피부조직을 이루고있습니다.
또한 바닷물을 체내로유입시켜 몸의 안밖의 압력을 비슷하게 맞춰주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