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2.21

경영권 지배를 위해 지주회사가 중요한 이유가 뭔가요?

그룹 오너가 주식 지분이 적어도 지주회사의 지분만 가지고 있으면, 경영권을 지배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어떤 원리에 의해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주회사의 지분을 가지고 해당 지주회사가

    관련 자기업들의 지분을 상당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룹 오너가 지주회사를 통해 회사의 경영을 지배할 수 있도록 하는 원칙을 "지배주주" 원칙이라고 합니다.

    이 원칙에 따라 지주회사 지분의 상당 부분을 소유한 개인 또는 법인은 지주회사가 보유한 자회사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습니다. 지주회사가 자회사 지분의 과반을 소유하고 있고 지배주주가 지주회사의 과반수 지분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지주회사가 자회사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고 지배주주가 지주회사 지분 51%를 소유하고 있다면 지배주주가 자회사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됩니다.

    지배 주주 원칙은 회사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외부인이 그룹의 지배 지분을 취득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또한 기업 지배 구조의 이해 상충 및 투명성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규제 기관이 지배 주주의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규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지주회사의 구조는 관련 기업들의 주식들을 지주회사가 보유하고 있어서

    지배구조가 되는 형태입니다. A기업의 주식을 B기업이 40프로 이상 소유하고 있다면 B주식수만

    가지고 있어도 A기업의 운영이나 경영의견에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그런형태로 지주회사는 상장시키지않고 그 지주회사의 지분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도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