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13

왜 아이들은 떼를 쓰는걸까요?

아이들은 원하는걸 들어주지 않거나 혼을 낼때,

울고 불고 떼를 쓰잖아요.

왜그러는걸까요.

밖에서 떼쓸때마다 창피하고 지치는데요.

이럴때는 어떻게 달래줘야하나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기 시작하면 부모님들은 난감하고 힘이들지요?그래도 아이의 교육을 위해 마음을 굳게 가지시고 아래와 같이 해보세요.


    아이의 문제를 즉시 해결해주지마시고 스스로 질문하게하고 해결책을 고민하게 해보세요.


    아이에게 기다려 달라고 이야기 해주세요.아이들은 적절한 시간동안 기다릴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


    아이와공감하고 격려해주세요.

    "너무잘하고 있어""기다리는것이 얼마나 힘든지 엄마도 알고 있단다"


    즉각적인 보상을 하지 않는 연습을 해보세요

    때로는 원하는것을 사기위해서는 기다림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주세요.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해주는 기다림과 사랑,그리고 아이 스스로도 기다릴줄 안다면 아이도 엄마도 더욱 행복하겠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3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떼를 쓸 때 정말 난감하고 숨고 싶어집니다.

    부끄럽기도 해서 그 상황을 모면하고자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주고 말죠.

    그렇게 되면 아이는 '내가 고집 피우고 우니까 다 들어주네'라고 각인하게 됩니다.

    만약 아이가 울면서 고집을 피운다면 단호하게 말하고 그 자리를 떠나십시오.

    보통 이렇게 하면 울고 떼를 쓰다가도 동태를 살피며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서 아이가 안정이 되고 나면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마트에서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음에는 원하는게 있으면 고집 피우지 말고 말로 포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서 마무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직 아이들은 자기 욕구가 강하고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거나

    통제하는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고집을 피우거나

    떼를 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의사표현이 서툰 아이들이 선택하기 쉬운 전략이기 때문입니다

    단호한 대처로 해당 방식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음을 알려주시되 아이의 감정에 충분히 공감해주셔야합니다

    평소 이야기를 많이 나누어 대화를 통해 스스로를 표현하는 훈련을 꾸준히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소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떼쓰는 아이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죠?

    아이들은 자신을 방어하기 어려울때 보통 떼를 쓰거나 자지러지게 웁니다.

    자신의 의견, 요구를 말하고 싶은데 통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훈육하시면 좋겠습니다.

    - 아이가 떼쓰거나 심하게 울때 " ㅇㅇ야, 떼쓰고 울면 엄마가 아무것도 해주지 않을거야. 너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너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떼쓰지 말고 천천히 말해보렴"..

    - 아직 어린 아이들은 더더욱 소통에 어려움이 있어서 울음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논리적으로 자신의 요구를 말하기 어려운 아이의 상황을 이해해주시고 아이가 천천히 자신을 말하도록 시간을 주시고 충분히 들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는 이유는 아이 자체는 아직 어리지만 아이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싶어하는 욕구 때문 입니다.

    이는 아이 발달 과정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떼를 쓰는 행동을 이상하게 생각하시기 보단 받아들이시고 엄마로서 무작정 혼내시기보단 아이의 요구를 지혜롭게 대처해 나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떼를 쓰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

    1, 아이의 성격부터 파악합니다.

    2.옳고 그름을 분명히 합니다.

    3, 그때 그때마다 바로 지적합니다.

    4. 아이가 좋아하는 것으로 관심을 돌립니다.

    5. 엄마의 사랑을 느끼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밖에서 떼를 쓸 땐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하므로 바로 달래 주는 게 맞는 것 같아요.

    가정에서 떼를 쓸 땐, 아이가 원하는 게 있어서 떼를 쓰면 올바른 표현 방법을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원하는 게 있을 때마다 떼를 쓰게 되면, 부모가 그 떼에 반응을 해서 들어준다면, 아이의 떼가 통한다는 메세지가 전달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