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24.12.23

무역 리쇼어링을 추진할 때 주요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해외 생산 공장을 국내로 이전하는 무역 리쇼어링을 검토중입니다. 비용, 인프라, 세제 혜택을 고려할 때 주요 위험 요소와 정부지원 제도가 무엇인지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해외 생산 공장을 국내로 이전할 때 인건비와 운영비 증가가 주요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 인건비는 해외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며, 초기 설비 투자비용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장 설립에 필요한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적절한 부지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를 충분히 검토해야 합니다.

    정부는 리쇼어링을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따른 초기 투자비를 지원하거나 법인세 감면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첨단 산업 중심의 리쇼어링 기업에는 연구개발비 지원, 융자 혜택,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를 적극 활용해 위험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리쇼어링은 해외로 생산시설을 이전했던 기업들이 다시 본국으로 돌아오는 현상을 뜻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리턴기업이라고 표현합니다.

    유턴기업에 대한 지원방향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motie.go.kr/kor/article/ATCL3f49a5a8c/169009/view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국내공장 설립에 따른 부분을 고려하셔야됩니다. 특히 가장 고려하셔야되는 부분은 우리나라의 인건비 수준이 이제 타국대비 매우 높기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고도 생산성이 나오는지 그리고 숙련공을 구할 수 있는지가 문제라고 판단됩니다. 정부지원제도의 경우 업종마다 다르기에 직접 확인해보셔야될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