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되알진금조137
되알진금조13722.11.06

어깨가 일어날때마다 결리고 기지개를 피면 너무 아파요

나이
16
성별
남성

거의 매일 그러는데 잠에서 깨고 일어날때마다 어깨랑 목뒤가 너무 결립니다. 그리고 기지개피면 진짜 죽을듯이 아파요. 어깨결리는이유랑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목의 통증은 목 디스크를 감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디스크의 정식 병명은 추간판 탈출증으로 추간판의 수핵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함으로서 나타나는 일련의 증상입니다.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돌출된 수핵은 면역기전에 의해 저절로 줄어들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추 전만이 사라지게 되면 추간판이 뒤로 밀리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실제로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해 경추 디스크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많은 분들이 목 통증 및 결림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예방은 목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하여 척추 뼈를 올바르게 정렬하고 추간판 탈출증이 생기지 않게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맥켄지 운동이라고 하는 운동법을 추천합니다. 이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양팔을 만세 자세로 올린 다음 어깨 높이로 팔꿈치를 떨어뜨린 후 등을 당기면서 목을 뒤로 구부리는 신전운동을 해주는 것으로 자주 해주시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약물이나 침치료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효과만 있어 항상 건강한 목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나나 도수치료등도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견인치료도 병행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혹은 정형외과 의원을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료 및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신다면 목이 굴곡되지 않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모니터를 본다면 눈높이 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좋으며 휴대폰을 사용시에도 눈높이 이상으로 유지하시고 베개도 경추베개 등으로 바꿔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자고 일어날 때마다 어깨랑 목 뒤가 결리는 증상만으로 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없습니다. 자는 자세가 부적절하여 그러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므로 수면 자세를 교정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어깨 통증은 다양한.. 원인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회전근개 파열, 오십견입니다. 이외에도 점액낭염..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수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 이후에 올바른 치료를 시행하여야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어깨 관절 스트레칭도 중요하니 병원 진료 후에 운동에 대한 교육도 같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7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어깨통증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어깨를 이루는 관절에는 여러가지 인대, 근육, 힘줄, 뼈가 어우러져 유기적으로 작용을 합니다. 이 구조물에 석회화가 일어나거나, 구조물들끼리 서로 끼이거나 마찰로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 어깨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돌증후군이라는 질환이 젊은 사람에게도 흔하게 나타납니다.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시고 치료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어깨통증이 일상생활에 방해될 정도로 심하시다면 무작정 견디시기보다 꼭 병원에 가셔서 정확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잠자는 자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겠습니다.


    배게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해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결국 전신이 결리다는 것은 근육이 뭉쳐 있다는 의미라고 이해해야 합니다. 혹시 잘 때 너무 움크리고 자는 것은 아닐까요? 또한 평소에 긴장을 많이해서 잠을 자도 깊은 잠을 못 자는 것은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스트레칭을 하면 당장은 몸이 뻐근할 수도 있지만 꾸준히 해야 근육이 충분히 풀린답니다. 만약 아침에 일어나서 개운한 느낌을 원하신다면 자기 전이라도 몸을 충분히 풀어 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