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서울의 미분양 아파트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하신 분들이 놀라는 부분 중 하나가 주거비입니다. 그래서 고연봉자도 서울에 자가를 마련하기 정말 힘든 상황인 것 같습니다. 점점 높아지는 집값과 저출산으로 추후에는 공급이 수요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 예측하는 분들도 있는데 서울의 미분양 아파트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 부동산 시장 악화에 따라 서울에도 미분양 물량이 기존보다는 많이 존재하게 되었지만, 그 세대수는 타 지역에 대비해 많지 않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서울 내 준공 후 미분양(악성미분양)의 물량은 올 1월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론 현재 시점에서는 공급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 결과가 나타나는 3년전후에는 부동산 상황에 따라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주택미분양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은 있습니다.

  • 서울 같은 경우는 미분양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될꺼 같습니다. 2022년초 까지 거의 미분양이 없다가 조금씩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는데 거의 인기가 별로 없고, 세대가 작은 아파트 위주로 각 10세대 미만 합쳐서 900세대 정도 미분양이 있는데 굳이 수치로 분석한다기 보다는 서울의 인구수가 워낙 크기 때문에 사실 이러한 미분양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

    향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더욱더 가속화 되고 2024~2027년 수도권 공급 부족예상인데 수도권 미분양은 거의 소진되리라 사료됩니다.

  • 서울의 미분양은 올초까지 17%정도 였는데 조금씩 소진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미분양이 많은곳은 강동구나 강서구가 많았다고 하는데 분양세대가 많아서 일수도 있습니다

    서울이야 미분양이 나도 특별분양으로 처리를 하겠지만 지방이나 소도시들이 문제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떨어져도 여전히 높은 집 값과 높은 금리로 주택수요지수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다만 세계 정세로 인해 공사 원자재 값 상승으로 공사비 및 인건비는 증가되지만

    현재 부동산도 하락세라 서울권 신축분양 및 재건축 진행이 멈춘 상태로, 공급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종합하면 현 상황은 수요 하락, 공급 대폭 하락으로

    거래량은 거의 없으면서 가격은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빌라 전세사기로 인한 임대차 수요가 전부 아파트로 몰려

    전세가 폭등으로, 아파트 값 상승에 잠시 반영된 사항도 있고요.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