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미분양 아파트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하신 분들이 놀라는 부분 중 하나가 주거비입니다. 그래서 고연봉자도 서울에 자가를 마련하기 정말 힘든 상황인 것 같습니다. 점점 높아지는 집값과 저출산으로 추후에는 공급이 수요보다 훨씬 높을 것이라 예측하는 분들도 있는데 서울의 미분양 아파트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현 부동산 시장 악화에 따라 서울에도 미분양 물량이 기존보다는 많이 존재하게 되었지만, 그 세대수는 타 지역에 대비해 많지 않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서울 내 준공 후 미분양(악성미분양)의 물량은 올 1월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물론 현재 시점에서는 공급도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시장에 결과가 나타나는 3년전후에는 부동산 상황에 따라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주택미분양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은 있습니다.
서울 같은 경우는 미분양이 거의 없다고 봐도 될꺼 같습니다. 2022년초 까지 거의 미분양이 없다가 조금씩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는데 거의 인기가 별로 없고, 세대가 작은 아파트 위주로 각 10세대 미만 합쳐서 900세대 정도 미분양이 있는데 굳이 수치로 분석한다기 보다는 서울의 인구수가 워낙 크기 때문에 사실 이러한 미분양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
향후 수도권 쏠림 현상은 더욱더 가속화 되고 2024~2027년 수도권 공급 부족예상인데 수도권 미분양은 거의 소진되리라 사료됩니다.
서울의 미분양은 올초까지 17%정도 였는데 조금씩 소진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미분양이 많은곳은 강동구나 강서구가 많았다고 하는데 분양세대가 많아서 일수도 있습니다
서울이야 미분양이 나도 특별분양으로 처리를 하겠지만 지방이나 소도시들이 문제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떨어져도 여전히 높은 집 값과 높은 금리로 주택수요지수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다만 세계 정세로 인해 공사 원자재 값 상승으로 공사비 및 인건비는 증가되지만
현재 부동산도 하락세라 서울권 신축분양 및 재건축 진행이 멈춘 상태로, 공급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종합하면 현 상황은 수요 하락, 공급 대폭 하락으로
거래량은 거의 없으면서 가격은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빌라 전세사기로 인한 임대차 수요가 전부 아파트로 몰려
전세가 폭등으로, 아파트 값 상승에 잠시 반영된 사항도 있고요.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