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2.01

왜 4는 죽음의 숫자라고 하나요?

숫자 4는 왜 나쁜 숫자로 알려져 있나요?

엘레베이터나 호텔 같은데 보면

4층 대신 F라고 써있는 곳도 있고,

4호가 없는 곳도 있는데요.

왜 나쁜 숫자라고 알려져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자 문화에서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死 죽을사 그래서 미신적으로 중국 한국 일본등에서 나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의 미신에 불과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4자 금기(四字禁忌)는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 국가에 있는 것으로,

    4의 발음이 한자 ‘죽을 사(死)’와

    비슷하거나 똑같기 때문에 불길하다고 하는 것이다. 4와 死의 발음은

    한국어에는 모두 '사', 일본어에는 모두 '시'(し)이고, 중국어 병음으로는

    각각 4가 sì, 死가 sǐ로 성조를 제외하면 동일하다. 이는 일종의 해음 현상에

    속한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종종 4층

    대신 영어"Four"(4)의 첫글자를 따서

    F층이라고 써있는 엘리베이터도 있다.


    --자료출처: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혹 특정한 건물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4층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4층이 있더라도 숫자 4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F"를 써둔 경우가 있지요. 주로 예전에 지은 건물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인데요. 이렇게 건물에서 4층을 볼 수 없는 현상은 우리의 미신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중국과 일본과 같이 "한자"를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숫자 4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이는 정말 단순한 이유에서 나온 것인데요. 바로 한자에서 숫자 4를 가리키는 단어 "四"와 죽음을 의미하는 한자 "死"가 같은 발음을 가지기 때문이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숫자 4를 "사"라고 읽는데요. 죽음의 의미를 가진 한자 "死" 역시도 "사"라고 읽는답니다. 중국에서는 이것을 "쓰(si)"로 발음한답니다. 일본에서도 숫자 4와 한자 "死"의 발음이 같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한중일 3국의 한자 문화권에서는 숫자 4를 불길한 숫자로 생각을 한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과 같이 한자를 사용하는 문화권에서는 숫자 4를 부정적으로 생각합니다.

    한자에서 숫자 4를 가리키는 단어 四와 죽음을 의미하는 한자 死 는 같은 발음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숫자 4를 사 로 읽는데 죽음의 의미를 가진 한자 死 또한 사 라고 읽습니다.

    중국에서는 이것을 쓰 로 발음하는데 일본에서도 숫자 4와 한자 死의 발음이 같다고 하여 한중일 3국의 한자 문화권에서 숫자 4는 불길한 숫자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마다 다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 4를 싫어하는 이유는 숫자 4는 죽을 사(死)자를 의미 한다며 꺼리는 숫자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만, 4를 꺼리는 것은 사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goryeo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328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중국인들도 가장 싫어하는 숫자로는 다들 4를 꼽는다고 합니다. 죽음을 뜻하는 사(死)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병원과 빌딩에는 4층을 F로 표시하거나 아예 4층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신 방송 위성인 무궁화호도 3호 다음에 5호가 발사됐을 뿐 4호는 빠졌다고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