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싱크홀 사고가 일어났을 때 해당 땅에 대한 복구는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나요?

최근 강동구에서 상당히 큰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했는데 사고에 대한 수습이 끝나고 나면 이 땅에 대한 복구작업도 있어야 할턴데 이런 싱크홀의 복구는 어떤 식으로 진행해서 이후 유사한 사고를 막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이 발생하면 일단 주변을 통제하고, 가장 먼저 왜 사고가 났는지를 철저히 조사해요. 노후된 지하 시설물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 때문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하죠. 원인이 밝혀지면 이제 싱크홀이 생긴 빈 공간을 특수 재료들로 단단하게 메워 넣습니다. 주변의 약해진 지반도 튼튼하게 보강하는 작업을 같이 진행해요.

    그다음에는 싱크홀로 인해 파손된 도로, 상하수도관 같은 것들을 원래대로 복구하고요. 이 모든 물리적인 복구가 끝난 뒤에는 사고 원인을 바탕으로 앞으로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단순히 구멍을 메우는 것뿐만 아니라, 땅속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안전을 확보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서울 강동구 4차선 도로에 약 20m, 18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하여 주변 교통 통제를 하고 실종자 확인 중에 있습니다.

    싱크홀이 발생된 원인을 찾는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긴급 대응팀이 파견되었고 각 분야 전문가들이 정밀진단 및 점검을 통해 싱크홀 원인파악을 하여 원인에 따라 복구 방법도 달라지고 있으며 전문적인 공법으로 복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약해진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충전재를 사용하여 빈 공간을 메우고 지반이 단단해지도록 층별 다집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유사사고는 공사 시 철저한 지반과 토질조사 등을 통해 지하수나 지하 매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해야 합니다. 서울 강동구 싱크홀의 경우 복구작업을 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것으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