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하원시간 늦게가도 괜찮을까요??
아이를 어린이집에서 항상 오후 3시30분에 픽업을 했는데요
좀 늦게가도 괜찮을까요? 빨리 데려가라고 눈치주거나 하지는 않겠죠?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담임교사 외에 종일반 교사가 별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종일반교사는 3시~7시30분까지 아이들의 보육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종일반 교사가 있는 어린이집이라면 그렇게 하원시간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먼저 보육시간을 해당 어린이집에 문의해보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원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나
대부분
늦게 가더라도 눈치주거나 하지 않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끔 가다 사정으로 인해 늦는 것이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어린이집이 담임교사 외에 종일반 교사가 별도로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종일반 교사가 있는 어린이집이라면 그렇게 하원시간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불안하시다면 해당 어린이집에 문의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추천 한 번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는 어린이집
선생님과 상담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일부로 계속 늦는다면 아무래도 선생님들도 부담스러워하고
싫어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주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눈치줍니다. 제 시간에 데려가야 합니다.
지각이 계속되면 유치원 교사와 사이가 틀어집니다.
아이에게 안좋은 영향이 간접적으로 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항상 데리러 오는 시간에 선생님도 아이를 준비시키기 위해서
화장실에도 다녀오게 하는 등 하원 준비를 시켜 놨는데,
늦으면 아이도 선생님도 기다리니, 늦게 갈 경우엔 미리 원으로 전화를 해 놓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에 사전에 미리 이야기 하시면 됩니다.
어린이 집 같은 경우 등하원 시간 조절이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라,
보호자께서 미리 원측에 이야기만 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 늦는 것은 어린이집 교사들도 각오하고 있지만
많이 늦는 것은 교사는 물론 아이에게도 좋지 않습니다.
아이는 정해진 시간에 등원하고 하원해야 불안감을 덜 느끼는데
만약 부모가 예정된 시간에 오지 않는다면 불안감을 느낄겁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 하원시간은 가급적 맞추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집 아이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의 하원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남아 있는 아이들의 경우에도 피해를 주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가급적 정해진
하원시간을 맞추어주세요. 불가피한 상황으로 늦는 경우 미리 전화를 하는 것이
부모를 맡기는 사람과 케어해주는 기관과 관계에서 중요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이집 낮잠시간에서 일어나는 시간이 보통 3시~3시30분입니다. 아이가 낮잠후 간식을 먹고 바로 하원을 하고 있습니다. 맞벌이 자녀나 다자녀 가구의 자녀의 경우는 6시~7시까지도 어린이집에서 지내다가 하원합니다. 그외의 상황에서는 원장님에게 말씀드려서 이해를 요구하시면 충분히 사정을 봐주실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희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종일반 규정이 따로 있고 종일 반으로 넘어가는 경우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만큼 늦게 가는 이유가 명확하지 않거나 빈도가 잦은 경우 문제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전에 양해를 구하고 늦는 경우는 이해를 해주실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