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힘찬하늘소177
힘찬하늘소17723.07.27

위화도 회군이 일어나던 당시의 배경이 궁금합니다.

고려 말기에 이성계의 군대가 요동을 정벌하러 가던 도중에 위화도에서 회군을 하여 개경을 향하였는데요.


그 뒤로 조선이 건국되게 되었는데 당시의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는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해 매우 긴장되어 있는 상태였는데, 1388년 명나라가 철령위를 설치해 철령 이북의 땅을 요동도사의 관할 아래 두겠다고 통고, 이에 고려가 크게 반발해 결국 요동정벌로 이어집니다.

    요동정벌이 단행될 때 수문하시중 이성계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일은 옳지 않으며 여름철에 군사를 동원한것이 부적당할 뿐 아니라, 요동을 공격하는 틈을 타고 왜구가 창궐할 것이며, 무덥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이므로 활의 아교가 녹아 풀어지고 병사들이 전염병에 걸릴 염려가 있다는 4불가론을 들어 반대합니다. 그럼에도 우왕과 문하시중 최영이 강력하게 주장해 요동정벌이 실행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2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화도 회군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시 고려와 명나라의 관계는 명나라가 무리한 공물을 요구해 매우 긴장되어 있는 상태였는데, 1388년에는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해 철령 이북의 땅을 요동도사(遼東都司)의 관할 아래 두겠다고 통고해 왔다고 합니다. 이에 고려가 크게 반발해 결국 요동정벌로 이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우왕과 최영장군은 요동정벌을 위해 이성계를 대장군으로 봉하여 군사를 내어주었습니다. 그러나 위화도에서 이성계는 4불가론을 내세워 회군을 결정합니다. 4불가론의 첫째는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쳐서 이길 수 없고 둘째 여름 장마철이라 화살촉이 녹슬고 군사들은 질병에 노출되어 힘들고 셋째 여름 농사를 제때 못짓으면 추수할 수 없고 넷째는 북쪽을 공격하면 남쪽에서 왜구들이 설쳐서 백성들의 삶이 어려워진다는 것으로 이는 군뿐만 이니라 백성들에게도 높은 호응을 얻어 고려왕조가 몰락하고 조선이 건국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