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세 아이 혼자 자게하고 싶은데 어떤가요?
서양의 경우 일찍부터 분리수면으로 아이와 떨어져서 재운다고 하는데 아직도 저와 함께 자는데 8세가 되서 분리수면을 하려고하는데 잘 안떨어지려고 하네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들이 혼자서 잘 수 있는 시기는 보통 아이들 스스로 대.소변을 가리게 된 후 혼자 일어나 소변을 볼 수 있을 때 아이들 방에 혼자 재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단지, 아이가 싫어하는데 강제적으로 떼어 놓지 말고 아이에게 이해와 협조를 얻는 게 무엇보다 중요할 것입니다 - 혼자 잘 수 있게 된다면 아이는 독립성을 키울 수 있을 것 같아요. - 그리고, 자신만의 방이 있다는 것에 대한 긍지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 또 스스로 자기 방 정리를 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주고 다른 방에 들어갈 때 노크하는 버릇 등 예절도 알 수 있게 되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에게 초등학생이 된만큼 스스로 책임감을 갖고 - 씩씩해져야 한다고 말을 해주세요. - 이와 더불어서 아이가 불안감을 가지지 않게 불안감을 - 해소해준다면 분리수면을 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3세이전에 분리수면을 하지 않았다면 분리수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님들이 흔히 초등학교에 가면 해봐야지 하면서 방을 꾸며주는데 쉽지 않을 것입니다. 방에서 혼자자는 시기는 제각각 이겠지만 10세 이후에는 다시 슬슬 시도해 보셔도 좋겠습니다. 너무 조급해 하지마시고 일단은 기다려 주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아이가 부모와 함께 자더라도 아이는 바닥에서, 부모는 침대에서 자는 등 방 안에서 자는 위치만으로도 분리를 시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서서히 변화를 주면서 분리 수면을 준비하면 돼요. 아이가 자신의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면 안정감을 느끼며 빨리 적응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간혹 초등학교 5,6학년까지 분리수면이 안 되는 아이들도 있답니다. 사실 분리수면이라는게 아이가 어느정도 준비가 되어야 가능합니다. 아이와 애착관계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엄마나 아빠에 대한 분리불안이 있는 상태라면 분리수거 자체가 지금 현재는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는 같이 주무시다가 점차 함께 누워 있는 시간을 줄여나가시고 결국에는 아이가 방안에 혼자 있는 과정을 연습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이 굉장히 힘들 수가 있는데 극복하고 나면 신세계가 펼쳐지실 겁니다. - 어느정도 서로 대화가 될 무렵부터는 자기 방과 본인만의 침대를 만들어주세요. - " 이제 ~~도 혼자 잘 수 있어야해. 엄마 아빠는 엄마 아빠 방에 있을게. 지금 혼자 잠을 자지만 엄마 아빠는 네가 부르면 언제든 달려올거야. 걱정하지 말고 푹자." - 이런식으로 지속적인 심리적 안정을 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