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1038283
103828323.02.24

아이 분리수면은 어떻게 해야할까요?이미 늦은거겠죠?

아이가 현재 8개월차인데요

분리수면을 하고싶긴한데 제가 계속 같이자면서도 아이가 너무 자주깨고 칭얼거려서 토닥여줘야 잠들거든요 ㅠ

분리수면을 하면 계속 재워주러 방에 왔다갔다 해야할것같아서 시도도 못하고 있는데

6개월에 분리수면을 못하면 3살까진 시도못한다고 하던데 사실일까요?

분리수면 방법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은 6개월 이전에 시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후에 시도하면 아이가 불안해하거나 힘들 수는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늦었다고 보기는어렵습니다.

    6개월에 하지 않아도 꾸준히 해준다면 분리수면을 할수있습니다.

    수면에 대해서 일정한 패턴이나 의식을 만들어서 시행하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일찍부터 부모와 떨어져 혼자 잠에 든다면 독립심이 커진다는

    말도 있지만 반대로 어린 아기를 혼자 재우는 건 부모의 사랑이 필요한 시기에

    사랑이 부족하다고 느끼게 할 위험이 존재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단 공통된 주장은 갓난아기라고 할 수 있는 생후 3개월 미만 아기는 혼자 재우지

    않는게 좋다는 것입니다.

    그외 상황이라면 독립된 공간을 만들어주고 애착물건을 만들어 주어 잠자리에서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면서 분리수면을 시도하시면 좋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은

    생후 6개월 이전이나 만 2~3세 이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후 6개월 이후엔 분리불안이 생길수도 있답니다.

    참고로 3세 이후부터는 분리불안이 점차 잦아들기 시작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해 아이를 설득하기가 쉬울거랍니다.

    분리수면 방법에 대해 말씀 드릴게요.

    1.아이방 아이만의 편안한 공간 만들어주기.

    아기가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는 환경의 공간을 만들어 주시고,

    작은 수면등도 준비해주시면 좋습니다.

    2.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자는 패턴을 만들어 주세요.

    3.분리수면이라 하더라도 초기에는 관심있게 지켜보아야 한답니다.

    4.만약 어린아기가 아니고 조금 큰아이라면 혼자 자야할 시기라는것을 꾸준히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해주시고 아이가 스스로 방을 쓰고 싶다고 말하게 하는것이 중요해요~

    현재 우리아이의 수면에대해

    어떻게 하면 서로 더 좋을지 생각해보시고 결정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을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까지도 못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예민한 기질에 아이는 더욱 수면분리 하기가 힘듭니다,.

    지금 8개월 이면 아이가 불안함을 느끼기도 할 것 입니다.

    아이의 분리수면을 일찍 하고 싶으시다면 아이가 불안함을 느끼지 않도록 엄마의 채취가 묻은 옷을 인형에 입혀서 아이옆에 두세요.

    그래도 아이의 수면분리가 나아지지 않는다면 아이가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먹을 때 즉,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에 수면 분리를 시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은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적정 시기가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분리 불안이 생기는 6개월경에 시도하거나 불안이 줄어드는 만3세 이후가 좋다고 알려져 있지만

    조금 어려움이 따를 뿐 해당시기에도 훈련을 통해 가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이른 시기에 분리수면을 시도하면 아이가 극심한 공포감, 상실감에 빠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한방에서 잠자는 위치를 달리해주세요. 부모님은 침대에 아이는 바닥에 자는 연습을 한 뒤

    아이방을 따로 마련하여 해당공간에서 놀거나 간식을 먹으며 공간에 익숙해지도록 해주시고

    애착인형등과 함께 자는 것을 반복해 주시면 됩니다.

    아이 성향에 따라 초등학교나 중학생때 분리가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너무 조급해 하지 마시고 시간을 두고

    천천히 도전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와 아기간의 관계나 애착 등은 아이가 평생을 살아가는데에 좋은 밑거름이 된답니다.

    cctv나 언제든지 위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면 분리수면은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좋지 않을 것 같아요

    주위에선, 분리수면이 아이의 독립성을 기르는 데 좋다, 아니다, 애착 형성에 안좋다 등 말이 많기도 합니다.

    아이의 독립성을 키울 수 있다고 믿는 경우도 있지만, 아이와 부모님의 수면의 질을 위해서도 분리수면을 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신체 조절이 미숙한 어린 아기들의 경우는 부모가 옆에서 자야 하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서양에서는 아이와의 수면 분리를 돌이전에 하기도 하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수면분리를 시도하는 부모님들이 3세 이전에 많이들 시도 합니다. 3세가 넘어가면 수면분리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터 낮잠부터 아이와 함께 자다가 빠져나오는 식으로 분리수면을 시도하시는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