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누리함
누리함23.04.21

고대 문학의 특징과 시가 문학 중에서 고대 가요의 특징과 주요 작품이 궁금합니다.

고대 문학의 특징과 시가 문학 중에서 고대 가요의 특징과 주요 작품이 궁금합니다.

제천 의식이 스며들어 있고 원시 종합 예술에서 분화되었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가요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

    우리 문학사사상 가장 처음으로 등장하는 문학작품군

    각 작품하나하나의 의미와 주제보다 그 계통성을 토대로

    이후의 문학들이 계승 발전하는 것으로 보는 것으로 의미를 가짐

    한시

    (여수장우중문시, 송인)

    4언절구, 4언율시 / 7얼절구, 7언율시 등

    향가 - 신라시대 문학

    (제망매가, 혜성가, 우적가 등)

    고대가요 이후에 등장한 신라시대의 문학갈래로서

    향찰, 이두라는 독특한 표현양식을 보임

    4구체,8구체,10구체양식을 보이며 10구체가 가장 정제된 형식으로 보이며 '사뇌가'라고도함

    이 형식을 토대로 시조, 가사가 계승된것으로 봄

    고려가요

    (청산별곡류)

    고려시대때의 구비문학으로 전해지다 궁중으로 편입된 작품들 중 훈민정음 발표후

    우리문학 정리사업때 기록되어있는 문학들이 남겨짐

    일반 백성들이 부르던 노래들이 궁중으로 편입되어진것으로 보며 그결과 '여음구', '후렴구'라는

    독특한 형식을 가짐

    경기체가

    (한림별곡류)

    고려가요에 대한 사대부들의 노래를 의미하며

    양반 사대부들의 유흥과 향취를 노래한 작품이며 문학성이 다소 떨어짐

    시조

    3434/3434/3543 (45자 이내) 4음보 율격

    이후에 율격이 파괴되어 조선후기에 사설시조 (중장이나 종장이 길어짐) 가 나타남

    가사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석보 등)

    훈민정음은 창제이후 한글의 테스트용(?)으로 조선창업의 우수성이나 왕업의 찬양등을 읊은 작품군으로

    문학성이 많이 떨어지며 조선의 왕권이 안정됨과 동시에 사라짐

    잡가

    신체시(소설)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이인직 - 혈의누

    현대시(소설)

    주요한 - 불놀이

    이광수 -무정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지가(龜旨歌)'는 집단적 제천 의식에서 불렸던 원시 집단 가요이며,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황조가(黃鳥歌)', '정읍사(井邑詞)' 등은 분화되어 나타난 개인적인 서정 시가이다. 또, 고대 가요는 대부분 배경 설화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