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서 파는것과 약국에서 파는것.
편의점에서 파는 상비약과 약국에서 파는 상비약의 가장큰 차이는 뭔가요?? 이름도 약국이나 편의점 둘다 똑같은걸 판매하는데..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편의점에서 파는 상비약과
약국에서 파는 약의 가장 큰 차이는
부작용 가능성을 우려 성분,
함량이나 포장수량 등에 제한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상일 약사입니다.
편의점에서 구입할수있는 약들은 안전상비약으로 그 종류가 제한적이고 약국에서 있는 일반의약품과 성분이 조금 다른것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성분이 다를 수 있고 편의점은 국민들의안전을위해 일부 해열제 소화제 감기약만 정해놓고 정해진 물품만 판매할수있도록 해놓은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진태웅 약사입니다.
약에 따라 다르겠으나 성분이 동일하지만 포장단위가 다른경우, 부작용등의 우려로 일부약성분이 빠진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일반의약품 중에 그 안전성이 확보된 의약품 몇가지를 안전상비의약품이라고 분류를 만들어 편의점에서 판매가 가능하게 만든 것으로 기본 골조는 약국약과 비슷하나 그 성분에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얘를들어 타이레놀은 약국이나 편의점이나 같은 약입니다.
하지만 판콜, 판피린같은 경우 그 구성 성분에 일부 차이가 있고, 약국 약이 효능면에서 더 낫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성엽 약사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약국약과 편의점 약은 그 이름에 조금씩 다른 약들이 많고, 이들은 그 성분 구성의 차이가 있어 편의점 약의 경우가 좀 더 순한 성분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타이레놀과 같이 이름도 동일한 약이라면 약국과 동일한 약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약마다 좀 다릅니다. 아예 같은 약인경우 갯수가 하루 최대량으로 제한이 되거나
성분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약에 따라 차이점이 다른데 예를 들어 타이레놀은 성분은 같지만 알약의 개수가 다르고, 판피린은 일부 성분에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