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감사의 일상
감사의 일상

건축물 H빔으로 주택시공시 단점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원주택 건축하고 싶은데 자금사정이 넉넉하지 않아서 기둥은 H빔으로 하고 콘크리트 외벽으로 할려고 합니다 혹시 H빔으로 사용하셔서 주택시공후 살면서 문제점 이나 보안점 등등 정보 좀 공유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H빔으로 구조체를 만든다면 기둥이 벽 보다 튀어나오게 될 겁니다. 콘크리트로 벽식구조로 건축하면 기둥이 없기 때문에 벽면이 요철 없이 만들어지는데 라멘조나 일반철골구조는 기둥의 크기가 벽 두께 보다 크기 때문에 벽면에 요철이 생겨납니다. 인테리어 마감시 잘 처리하면 되지만 신경이 쓰일 수도 있습니다. 비용 문제라면 H빔 보다 구조용 각관을 써서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각관을 사용할 때 H빔 보다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인테리어 마감 속에 숨겨넣을 수도 있습니다. H빔이나 구조용각관으로 구조체를 만들면 콘크리트에 비해서 소음이 잘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은 있습니다.

    추가로 추천드리고 싶은 것은 목구조로 건축하는 것입니다. 단열에도 유리하고 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해서 오기 때문에 공기단축에도 유리합니다. 화재에 취약하다고 많이 생각하는데 목재에도 방염처리가 가능하며 단열재 역시 내화성능을 가진 것으로 시공하면 됩니다. 특히 중목구조 같은 경우 표면은 탈 수 있지만 중심부까지 타기 어렵습니다. 철골구조가 화재에 더 취약하며, 화재 후 복구는 콘크리트 구조나 철골구조가 목구조에 비해 더 까다로운 편입니다. 시공비용을 따져보면 콘크리트구조>목구조>철골구조 순입니다. 여기서 목구조와 철골구조는 콘크리트구조와 목구조의 차이 보다 적은 편입니다.

    예산에 맞춰서 선택해야 되기는 하지만 H빔을 사용하고 외벽은 콘크리트로 만들 계획이었다면 목구조와 비슷한 비용이 들거나 더 많은 비용이 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건물 지을때 골조나 기둥 등으로 H빔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H빔은 강철이기에 외부노출과 습기가 있는 환경적 원인으로 녹이 슬거나 부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화성이 부족하여 고온에 약해 화재가 발생 시 강도가 떨어지고 소음과 진동을 쉽게 전달하기 때문에 방음처리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또한, 열전도율이 높아 단열성능이 떨어지기에 단열재 보강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이러한 H빔을 살면서 보안하기 위해서는 녹이나 부식을 제거한 후 방청제와 도장작업을 다시 꼼꼼하게 해야 합니다. 그리고 내화성능이 부족하여 피복 보강을 위해 석고보드나 콘크리트 피복을 교체 및 추가해야 합니다. 또한, 볼트 풀림과 연결부위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안전한 건축물에 있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