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배당여부는 회사 마음인지 궁금합니다.
주식에서 배당율에 관계없이
배당을 주고 안주고는 단순히 회사마음인가요??
아니면 주가총액이 얼마이상일경우에는 배당을 줘야한다 이런게 있나요?
회사의 마음입니다.
정확히는 회사의 의사회 결정사항으로 의사회의 마음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고 안주고, 주면 얼마를 줄지, 언제줄지는 다 이사회 결정사항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기업의 배당은 기업이 정하고 있기 때문에 마음대로 결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삼성전자가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사내에 유보금으로 쌓아야겠다고 결정하면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밸류업을 통해서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배당성향을 늘리려고 하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배당은 이익잉여금에서 분배하는 것으로, 기업이 단독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총을 거쳐 결정됩니다. 주가총액은 배당과 관계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배당을 지급하고 안 지급하고는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달라지므로 어떻게 보면 '이사회의 자유'라 할 수 있으며, 시가총액이 얼마 이상일 경우, 순이익이 얼마 이상일 경우 반드시 배당을 줘야한다는 것은 별도로 규정된 것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여부는 자본항목에서 자본과 이익이영금 재원으로 하는것이며 전기누적이 아닌 당기순이익에선 전액이 아닌 일부만 배당재원으로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이 배당여부는 회사의 등기이사가 정하는게 아니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의결 투표로 정하는것입니다 즉 주주가 안건을 내고 해당 배당액을 최종적으로 주총에서 결정하여 과반수이상 통과되어야 배당이 가능하고 금액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배당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은 없습니다.
이익이 나면 배당을 주는 회사들이 많기는 하지만,
그러한 이익을 기반으로 다른 사업을 하는 경우들은 배당을 지급하지 않기도 합니다.
즉, 회사 마음대로이기는 합니다.
특정 회사는 배당을 소액 지급하는 것보다 사업이 더 잘되어 주가를 견인시키겠다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회사 마음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배당을 주는 회사가 있고 아예 안주는 회사고 있고, 배당을 점점 더 많이 주는 데가 있고, 줄어들 수도 있고, 실적안좋아서 아예 안주는 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배당은 회사가 성장하여 주가상승으로 인한 이익을 주주에게 줄수 없을때 시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테슬라 같은 경우는 이제 회사에 현금은 많아졌는데, 배당보다는 회사 성장에 투자하고, 또 주주들은 오히려 그걸 바라고 있죠.
근데 코카콜라는 이제 상식상 폭발적인 성장은 힘듭니다. 어떤 음료가 개발돼서 매출이 갑자기 2배 뛰기도 힘들고, 사람들이 콜라를 2대 마시기도 어렵죠. 하지만 꾸준히 팔리고 현금은 벌리다 보니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보상을 해줍니다.
배당은 지급 여부는 기업의 자율적인 의사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한민국 상법상 주식회사는 배당가능이익이 있어야 배당금 지급이 가능하며 배당가능이익은 순자산에서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 등을 공제한 금액입니다. 상장회사는 분기별로 배당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에서 배당을 줄지 말지 여부는 전적으로 회사의 권한과 선택입니다. 다만 주주 압력과 신뢰 및 회사의 성장에 대한 보상, 주가 방어 등의 이유로 회사가 안정적으로 성장할수록 배당을 지급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배당하고 하지 않고는 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 사안입니다. 물론 기업에서 안건을 제의하는 것이 우선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