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피뎀 7알 처방 받았는데 운전자 보험 갱신이나 수술비보험 드는데 제약이 있을까요??!
내과에서 처방 받았는데
실손, 암보험, 미국연금 보험, 자동차 보험, 운전자 보험 이렇게 있는데
나중에 집사면 화재보험, 그리고 운전자 자동차 보험 갱신, 수술비 보험, 간병비 보험 등등
나중에 보험을 새로 들거나 갱신을 못하나요?
수면제를 매일 먹는게 아니라 유통기한이 2년이면 2년동안 7알을 나눠먹을건데
앞으로도 계속 그럴거에요
계속 처방 기록이 있으면 제가 보험을 갱신하고 싶거나 보험을 들고 싶어도 못드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졸피뎀 처방과 관련하여 보험 가입에 대한 걱정이 있으시군요 일반적으로 졸피뎀과 같은 단기 처방은 보험 가입에 큰 제약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처방이나 정신과적 이유로 복용하는 경우에는 고지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운전자 보험의 경우 졸피뎀 복용 이력이 사고 발생 시 보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이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졸피뎀 7알 처방만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복용 사유와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갱신할때는 문제가 안됩니다 다만 새로 보험을 가입하려면 고지의무내용이 됩니다 약처방은 복용을 하든 안차든 어떻게 하는지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운전자보험은 가입때 그다지 문제 되지 않습니다 질병관련보험 가입때 고지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1. 운전자 보험졸피뎀 자체로 운전자 보험 가입이 거절되거나 보장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단, 졸피뎀 복용 후 사고 발생 시에는 "약물 복용에 의한 사고"로 간주되어 보상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 사고 당시 졸피뎀 복용 이력이 있고, 졸피뎀의 부작용(졸림, 판단력 저하 등)이 사고에 영향을 준 것이 입증되면 보상이 제한될 수 있음.
졸피뎀 7알 정도의 단기 처방 이력만으로는 일반적으로 수술비나 입원비 보장에 큰 제약은 없습니다.
하지만 정신질환 치료 목적(예: 불면증, 우울증, 공황장애 등)의 지속적인 처방이 있을 경우,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 대상이 되며, 이에 따라 보장 제한이나 면책 조건이 붙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졸피뎀 복용의 사유"입니다. 단순 불면으로 단기 처방받은 것인지, 정신질환 치료로 장기 복용 중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론적으로 졸피뎀 7알 처방 단독으로는 큰 제약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고 발생 시 복용 사실이 밝혀지면 보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보험 가입 시 고지의무가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는 복용 사유와 기간에 따라 다르니, 불확실할 경우 보험 설계사나 전문가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나중에 집사면 화재보험, 그리고 운전자 자동차 보험 갱신, 수술비 보험, 간병비 보험 등등
나중에 보험을 새로 들거나 갱신을 못하나요?
: 우선 기 가입보험에 대하여 갱신할 시에는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다만, 신규보험을 표준체로 가입할 때에는 고지할 사항에 "최근 3개월 이내에 마약을 사용하거나 혈압강하제,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제(흥분제), 진통제 등 약물을 상시 복용한 사실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내용이 있어,
해당 처방이 가입전 3개월 이내가 아니라면 이도 큰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졸피뎀 처방은 실손보험, 수술비 보험, 간병비보험 같은 제3보험이나 연금보험등의 생명보험 관련 보험 등에서 엄격한 언더라이팅을 거칠 수 있지만 그외에 보험은 영향이 없으며 보험사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졸피뎀 처방이 정신과 치료의 일환으로 처방받은 경우라면 보험 가입은 물론 보험금 지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이나, 실손의료보험에 당장 가입할 수 없다고 생명, 손해보험사에서 문의 결과 나왔다고 합니다. 보험업계에서는 정신과 질환 치료용약물을 처방 받게 되면 최소 서류심사 강화 등 일반 가입자보다 까다로운 언더라이팅을 거치게 된다고 합니다.
단순 수명장애로 인한 수면제 처방에는 비교적 제약이 낮지만 수면제를 처방받은 배경에 따라서 가입을 거절하는 곳도 있고요. 수면 장애 외에 다른 질환을 동반하거나 장기 치료를 받은 경우에 가입이 유보된다고 합니다. 생명보험과 실손의료보험 등에 특히 졸피뎀과 같은 정신과 약물 처방환자를 꺼린다고 합니다. 보험업계에서는 정신질환 환자의 행동 패턴이나 손해율에 대한 명확한 통계가 없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졸피뎀과 같은 수면제 처방 여부는 보험가입자 고지의무에도 포함이 됩니다. 만약 수면제 등 정신질환 치료 목적의 약물 처방 사실을 알리지 않으면 정신과 관련 상해나 질환이 아니어도 보험금 지급이 거절되는 사례가 있다고 합니다. 졸피뎀과 같은 정신과 약물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품은 암보험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정신과 질환과 암 발병의 상관관계가 증명되지 않아서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7알은 문제 없습니다.
즉, 약처방을 30일 이상 받으시면 고지 대상이지만, 그 미만이시기에 고지 대상도 아니고 해서 보험 가입에 문제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