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강군84
강군84

학습 습관이 들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를 위한 부모의 지원 방법이 궁금합니다.

초등학교 4학년 아이 공부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에게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심리적 지원과 격려 방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등학교 4학년 아이가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가질 때 어떻게 격려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의 스트레스를 잘 다루지 않으면 자존감 저하, 신체 증상(복통, 두통 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감정을 공감해줍니다. 스트레스 신호를 몸으로 표현할 때 아이가 쉴수 있도록 배려해줍니다.

    학습 스케줄을 점검해서 회복할 수 있는 시간을 줄 필요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작은 선택권을 주고 작은 결정이라도 아이가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놀이와 휴식의 균형을 맞춰주고 하루 10분 대화의를 나누며 아이가 속마음을 열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학습 습관이 잘 들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는 초등학교 4학년 아이를 위해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원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하고 부담을 덜어주는 것입니다.

    먼저 아이가 느끼는 걱정과 힘든 점을 충분히 들어주며 "많이 힘들었구나", "누구나 공부가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어" 같은 공감과 위로의 말을 건네는 것이 좋습니다. 비교나 지적보다 아이의 작은 노력과 성장에도 칭찬을 아끼지 않고 결과보다는 오늘 얼마나 성실히 임했는지 과정 중심으로 격려해 주세요.

    학습 목표를 너무 크게 잡기보다는 아이와 함께 하루에 한 가지씩 할 수 있는 작은 목표를 세우고 성취했을 때 칭찬과 따뜻한 관심을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부모가 "공부는 잘하는 것보다 즐겁게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해 주며 아이의 마음이 안정될 수 있도록 꾸준히 응원하고 믿어주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공부에 대한 압박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잠시 모든 공부는 stop 하고, 명상으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또한,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대화적인 소통을 통해 아이의 심리적 + 정신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좋겠구요.

    더나아가 아이가 함께 넓은 운동장으로 나가서 아이의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아이의 스트레스에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공부를 게임과 연관지어 해보세요. 공부를 게임처럼 즐겁게 할 수 있도록 상황 설정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공부에 대해 너무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친구나 형제 자매랑 학습 성과에 대해 비교하지 않습니다.

    노력과 시도에 칭찬을 많이 해 주세요.

    실패해도 괜찮다 라는 말을 많이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4 아이가 학습 스트레스를 느낀다면 먼저 아아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부 힘들지?많이 애썼어'처럼 위로의 말을 자주 해주세요. 성적보다 노력에 초점을 맞춰 칭찬하고, 짧은 학습 후 충분한 휴식과 놀이 시간을 주어 학습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이럴 떄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지원은 공감과안정감입니다

    아이가 공부 떄문에 스트레스를 느낄 때는 학습 자체보다 그 상황을 둘러싼 감정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칩니다

    성적이나 진도보다 아이의마음상태에서 먼저 주목하는 것이 필요해요

    아이가힘들다고 느끼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물어보려 하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말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주고 옆에서 묵묵히 반응해주는 방식이 후러씬 효과적입니다

    부모의 태도가 조급하거나 실망스러워보이면

    아이는 자신이 잘못하고 있다는 죄책감에 더 위축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먼저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주세요. 아이의 감정에 대해서 공부가 힘들구나, 말하면서 감정에 공감해 주시는 게 먼저입니다. 그 다음에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고 아이만의 속도와 방식으로 공부해 나갈 수 있도록 존중해 주시는 게 필요합니다. 과정을 칭찬해 주어서, 결과보다는 노력해서 여기까지 왔다는 과정을 알려 주세요. 작은 목표를 세워서 하루에 10분 공부하는 것처럼 부담 없는 목표로 시작하여 성취감을 키워주시기 바랍니다. 학습 이외에도 그림 그리기, 운동하기, 보드 게임, 다양한 체험 활동 등을 해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