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APPLEB
APPLEB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3.0에서 3.3프로 상향한다는 보도가 있던데 이정도면 선진국으로써 어떤 상태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30대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희망 상담 분야
부동산 설계

미국의 잠재성장률이 올 2분기에는 3.3으로 상향을 했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이 수치

같은경우에 미국처럼 선진국에서는 매우 높은건가요 아님 어떤 상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3.3% 성장률은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도 1-2% 수준임을 보면 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선진국임에도 매우 높다는 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GDP가 3.3퍼센트로 높아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미국 정도 규모의 선진국에서 GDP 성장률이 3.3퍼센트라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봐야 할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제규모 등을 보았을 떄,

    약 3% 정도의 성장을 한다는 것은

    정말 엄청난 성장을 보이는 것이기에

    긍정적으로 볼 여지가 상당하며 여기에 상향한다면

    그만큼 미국 경제가 튼튼하다는 것이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세계 1위 경제대국인데도 잠재성장률이 3프로 대 인건 상당히 경기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를 보면 잠재성장률이 2프로라고는 하지만 사실상 이제 1프로대로 진입한 저성장 국가죠

    그에 반해서 미국은 세계1위 경제대국인데도 3프로대니 개인적으로는 꽤 높은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선진국일수록 경제 성장률은 낮아질 수 밖에 없는데요. 미국 같은 강대국의 잠재 성장률이 3% 가 넘는다는 것은 꽤나 높은 수치 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도 잠재성장률이 1~2%대 수준이고 이게 지속적으로 하락중입니다 그렇다면 선진국의 잠재성장률 보게 되면 유럽 선진국들이 현재 대략 1.5~2.0%수준이며 일본이 1%내외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2000년대들어서 대부분 1.5~2%성장률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잠재성장률이 3.0%로 매우높은것이지만 3.3%는 더더욱 높은것입니다. 그만큼 향후 기술이나 노동력 자본의 생산성이 엄청나게 크다는것이며 아마 이는 향후 미국내에서 집중설비투자가 늘어나는것에 기인한다고 보입니다. 그러면서 이런 투자가 대다수 AI나 자동화설비 데이터센터등의 첨단산업위주의 투자이기 때문에 이런 높은 잠재성장률을 보인것으로 판단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잠재성장률의 경우 3.3으로 잡힌 것은 미래가 기대된다는 것입니다. 보통 미국이나 선진국들의 성장률은 약 2.5% 미만이며, 이러한 성장률이 그보다 높다는 것은 성장률이 높다는 것이며, 이는 인공지능 ai나 여러 측면에서의 기술력이나 활용성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성장성이 높으면, 일반적으로 근로자가 더 많아지니 내수경제도 활성화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의 잠재 성장률이 3.0%~ 3.3%로 상향된다는 것은 선진국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이며, 강력한 경제 상태를 의미합니다. 잠재 성장률은 한 나라의 노동, 자본 등 생산 요소를 최대로 활용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최대의 경제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의 잠재 성장률은 1%후반에서 2%초반에 머무는 것이 보통입니다. 이는 이미 경제가 성숙기에 접어들어 생산성이 향상이 더디고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노동 인구가 줄어드는 구조적인 한계때문입니다.

    한국: 최근 잠재 성장률이 1%대로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유럽 및 일본: 대부분 1%내외의 잠재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잠재 성장률이 3%대에 근접한다는 것은 기술혁식, 자본 효율성 증대, 그리고 높은 노동 생산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내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선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미국이 여전히 세계 경제를 견인하는 독보적인 성장 엔진임을 보여주는 강력한 지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3.0%에서 3.3%로 상향은 선진국치고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경제의 생산성 회복과 기술 혁신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글로벌 경제에서 여전히 독보적 지위를 확인한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