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4.10

탄 음식과 발암성은 어느 정도 상관이 있을까요?

음식을 과잉조리해서 타게 되면 발암물질이 있어서 먹지 말라고 하는데 탄 음식의 발암성은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고 무슨 성분 때문에 발암 여부가 논쟁이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계와 살코기의 경계 부분이 타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됩니다. 고기 먹을 때 탄 부분을 먹지 말라는 이유는 바로 벤조피렌 때문입니다.

    벤조피렌은 PAH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에 속하는 유해물질입니다. 벤조피렌의 발생 원인으로는 탄 음식, 자동차 배기가스 등이 거론됩니다.

    이 벤조피렌이 암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비계와 살코기의 경계 부분이 타면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생성되며 벤조 피렌은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그룹에 속하는 유해물질 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암과 탄 음식 사이에는 일부 연구에서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지만, 그 연관성은 여전히 논란이 많고,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탄 음식과 발암성은 어느정도는 관련이 있습니다.

    이유는 탄 음식은 고온에서 구워질 때 발생하는 아크릴아마이드라는 화학물질이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일상적으로 섭취할 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수치상으로 이 물질만으로 암에 걸리려면 2톤정도를 섭취해야 하는데, 이정도 양이면 꼭 탄 음식이 아니라도 사망할 듯 합니다.

    그럼에도 탄 음식은 WHO에서 인정한 암이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는 앞서 말씀드린 물질이 아니라 단순히 고기를 불에 직접 굽는 것만으로 여러 숯이나 용기 등에서 유해성분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음식 중에서도 단백질이 많은 음식, 특히 고기가 타면 단백질 구조의 변형에의해 벤젠 고리가 생성되는데, 벤젠고리에 -OH 가 치환된 페놀기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벤젠고리는 화학적으로 평면 구조이기 때문에 DNA 나선 사이로 비집고 들어갈 수가 있읍니다.거기에서 우리몸의 산화물질에 의해 -OH가 산화되어 -COOH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DNA의 펩티드 결합이 끊어지게 됩니다.

    이런 결합이 끊어진 DNA들이 복제되기 시작하면 암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탄 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자신의 DNA를 파괴시키는 재료를 섭취하는 것이고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 몸에 안좋다는 연구결과가 있는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에 반대되는 연구결과도 존재합니다. 또 태운 음식이 암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려면 일반적인 음식 섭취량으론 불가능한 양을 먹어야되므로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탄음식은 고온과 짧은 시간에 음식을 빠르게 조리하는 방식으로, 고열의 열원을 사용하여 음식을 빠르게 구워내는 방법입니다. 이는 주로 바베큐, 그릴, 화덕, 오븐 등에서 사용되며, 음식의 외부를 고온으로 빠르게 조리하면 내부를 보다 부드럽고 수분이 많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발암은 음식이 고온에서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입니다. 탄음식이 고온에서 조리될 때, 음식의 표면이 고열에 노출되면서 단백질과 당이 결합하여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등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암물질들은 동물 실험에서 암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재 인간에서의 발암성은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으며, 발암 물질의 생성은 조리 온도, 조리 시간, 음식의 종류, 조리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탄음식을 먹는 경우에는 발암 물질의 섭취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우려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음식 조리 시에는 안전한 조리 온도와 시간을 준수하고, 고온 조리에 의한 불필요한 연기와 연기가 음식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하여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고, 고기를 구워먹을 때는 고기의 내부 온도를 충분히 확인하여 안전하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항상 올바른 조리 방법과 식품 안전에 대해 주의하며 음식을 즐겁게 즐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기를 불로 굽거나 훈연을 할경우 아크릴아미드가 생기는데 이 아크릴아미드가 2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있습니다 즉 탄 음식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는것이 아니라 불을 사용해 요리를 할경우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고기를 구워먹을때 탄부분은 먹지마라고 하는데 이는 탄부분에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 때문입니다.

    그러나 탄부분만 자르고 먹는다고 벤조피렌을 피해갈수도 없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고기를 굽는 연기에도 벤조피렌이 있어서 노출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다 피해가려면 사실상 쪄먹는 방법밖에는 없는데 적당량의 탄음식은 크게 인체에 무리를 주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안좋은거 다 피하면, 할 수 잇는게, 먹을 수 있는게 없겠다는 개인적 의견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