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금리를 올리면서 직접적으로 시장에 돈을 풀면 경제는 어떻게 되나요?

현재 미국은 성장과 물가란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하고 있는데 고금리라는 것 자체가 시장의 돈의 유동성을 묶는 거잖아요?

그런데

만약 현재 상태에서 금리를 더 올리려서 거대자금의 유동성을 묶는 대신에

시장의 소비자들이나 공급자들에

직접적인 방식으로 자금을 뿌리면

경제적으로는 어떤 결과가 나올 수도 있나요?

현재도 금리이외의 방식인

레포, 역레포로 유동성을 조절하고 있다 알고 있는데

만약 금리를 더 올리고

직접적으로 소비자나 공급자에 돈을 풀어버리면

경제는 어떻게 될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서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높이게 되는 경우에는 인플레이션율이 감소하지 않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는 금리인상을 통한 인플레이션 억제라는 결과를 내지 못하는 이해상충의 정책이 될 수 밖에 없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금리를 올리면서 시장에 돈을 풀면 경제가 어떻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미국은 5.5%의 고금리임에도 불구하고 내수 시장이 호조세를 보이는 것은

      시중에 계속 돈이 풀려서 그런 것이란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동시에 물가는 오르는 것입니다.

      즉, 고금리 기조를 유지해도 물가를 잡지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물가는 잡히나 자금경색으로 경기침체가 올수 있으나 시장에 자금을 투입하면 경기개선에 효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이 금리를 올리면서 시중에 돈을 푼다면

      양 반대의 성격에 있는 정책 등을 혼용하는 것으로

      위와 같은 경우 발생시 물가가 쉽사리 잡히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