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7.23

중앙은행에서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 금리 조절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중앙은행에서 물가 안정을 위해서 기준 금리를 조절한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물가가 높을 때 기준금리 낮춰 대출을 할수 있게 해주어 시장에 돈을 더 많이 공급하나요?

아니면 반대로 금리를 더 높여, 시장에 풀어져 있는 돈을 다시 회수해 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촉진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출 수 있어요. 낮은 금리는 대출을 유도하고 경제에 더 많은 돈을 주입하여 소비와 투자를 촉진하게 되고 이렇게 하면 경제 활동이 증가하고 물가 상승률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물가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우,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이고 높은 금리는 대출을 억제하고 소비와 투자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시장에 풀려있는 돈을 회수하여 경제를 냉각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물가가 높을때 기준금리인상으로 시중에 화폐유통량을 조절하여 물가인하를 유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가 심화되면 금리를 높여 시장에 있는 돈을 회수하여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으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립니다 은행들은 예적금 대출금리를 따라서 올리구요 그러니 시중 자금은 회수되어 물가가 낮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구용!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높여 시장에 풀린 통화량을 회수합니다. 통화량이 많을 때 보통 물가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물가가 높을 때는 기준 금리를 높여서 물가를 잡기 위한 시도를 하게 되고(현재 상황), 이 과정에서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하고자 하게 됩니다. 즉, 말씀해 주신 것 중에서는 후자가 맞으며, 전자는 물가가 너무 낮을 때 이루어지게 되는 통화정책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을때 기준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습니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대출이자가 증가하여 소비를 위축시켜 물가를 낮춥니다. 덜 사먹어야지 제품가격이 떨어지니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높을 때에는 기준금리를 높임으로써

    시중의 돈을 빨아들여 돈의 양을 줄여

    물가의 상승폭을 제한하는 등 하여

    물가를 잡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높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는 상황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는데,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소비자 물가가 상승하고, 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경제 안정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고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준금리를 조절합니다.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경기 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높여서 돈을 차입하는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이로 인해 경제 활동과 소비가 억제되고, 물가 상승을 조절하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반대로 경제가 불확실하거나 물가 상승이 둔화하는 경우에는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어 경기를 부양하고 경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