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황금발구지
황금발구지22.02.02

촛불을 켜면 냄새를 없앤다는데 과학적인 근거가 있나요?

보통 집안에 냄새가 날때 초를 켜서 없애는 방법을 쓰는데,과학적으로 근거가 있는 이야기인지 궁금합니다. 느낌상으로는 냄새가 빠지는 것 같아서 냄새나는 요리를 할 때도 자주 초를 켜놓고 하는데 실제 그런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냄새 또한 분자이지요.

    예를 들면 암모니아도 NH3라는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입니다. 쉽게 기화되어 공기중에 잘 떠다니 때문에 사람들이 냄새를 맡을 수 있지요.

    촛불은 공기중의 산소 뿐 아니라 주변의 냄새 물질도 태워버릴 수 있습니다.

    기체는 '확산' 하려는 경향이 있어, 농도가 많은 곳에서 적은곳으로 이동하려하고 촛불주변의 냄새 물질이 태워지면 그쪽의 농도가 낮아지므로 일부가 이동하게 되고, 또 태워지고 하는 것이지요.

    다만, 점차 농도가 옅어지면 이동하는 양도 줄어들어 냄새 줄어드는 정도가 초기보단 느릴 것으로 생각됩니다.


  • 냄새라고 하는것은 공기중에 냄새를 만들어 내는 분자들이 떠다니고 이 분자들을 호흡에 따라 들이 마시면서 후각신경에 접촉시킬때 발생하는 전기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냄새를 없앤다" 라고 한다면 그 공기중에 떠다니는 냄새 분자를 제거하는것이 가장 중요하겠지요.

    이론적으로 촛불을 켜두면 불꽃에 의해 대류가 빠른 속도로 일어나게 되고 이때 공기중에 있는 냄새 분자들이 촛불에 닿아 연소되어 점차로 냄새분자가 제거 되게 됩니다.

    즉, 냄새를 없애는데에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양은 그냥 환기 한번 하는것보다 미미하고 시간도 오래 걸려서 큰 효과라고 볼 수 없습니다.

    페브리즈 같은 경우 그 냄새분자와 결합하여 후각신경에서 작용하지 못하게 하는 물질을 분사하는 방식입니다.

    그냥 환기 하시는게 가장 효과가 좋습니다.


  • 촛불을 켜면 냄새가 없어지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 촛불을 사용하면서 연기와 냄새가 발생하는데, 이는 불꽃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것입니다. 불꽃에서 발생하는 이 연기는 다양한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 화학 물질은 눈이 아프거나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 안에서 촛불을 사용할 때에는 환기를 잘 시켜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냄새를 없애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나 환풍기 등의 공기 정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처음 들어보는 얘기인데 읽다보니 나름 과학적 근거가 있을 것 같아 답변 남깁니다.

    냄새가 나는 물질은 딱 이거다 하고 정해진 화합물이 아니다보니

    (단일원소로 이루어져있거나 다른 원소들이 합쳐진 화합물 등 각각이 다 다름)

    모든 냄새에 적용할 수는 없지만,

    방향족 탄화수소나 (향기가 나는 화합물입니다) 비슷한 류의 연소가 가능해 산화가 가능한 물질이라면

    촛불로 충분히 공기 중에 있는 물질을 없앨 수 있을 것 같네요.

    가능하시다면 관련 논문을 읽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