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반듯한다향제비277
반듯한다향제비27720.12.05

부모님 중에서 고혈압 환자가 있으면 자녀도 물려받나요?

고혈압 환자가 있는 집안을 살펴보면 자녀도 고혈압인 경우를 종종 본 적이 있습니다. 부모님이 고혈압 환자라면 자녀들도 유전적으로 물려받나요. 어린 시절 알게되도 따로 치유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은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는 연구 보고가 많습니다. 부모가 고혈압이면 자녀가 고혈압일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무조건 유전적인 현상이라기 보다는 부모로 부터 물려받은 환경적인 습관이 크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부모님이 고혈압이면 꾸준한 관리 및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거의 모든 질병의 가장 큰 위험인자는 유전입니다. 물론 비만, 식습관으로 인한 후천적 고혈압도 많습니다만

    두분다 고혈압이 있으시다면 본인도 검사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은 유전적인 영향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상부부 사이의 자녀가 고혈압에 걸릴 확률 => 15~20%

    한쪽부모가 고혈압인 경우 자녀가 고혈압에 걸릴확률 => 30~40%

    양쪽부모가 고혈압인 경우 자녀가 고혈압에 걸릴확률 => 40~50%

    정확하게 고혈압의 원인이 무엇이다 라고 밝혀진것은 없습니다만 위의 결과데이터를 보았을때 유전적인 영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은 유전적인 소인을 물려 받을 수 있습니다. 즉, 부모님이 고혈압이 있다면 자녀들도 고혈압이 있을 가능성이 높지요. 다만 고혈압은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식사나 비만, 운동 부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생기기 때문에 부모님들이 고혈압이 있으시다면 특별히 짜지 않게 드시거나 체중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꾸준히 운동을 함으로서 고혈압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참고로 유전적인 소인을 바꾸는 것은 어렵습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혈압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유전적인 요인도 작용을 하여 가족력이 있어서 고혈압의 위험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평상시 혈압 측정을 주기적으로 해보시고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저염식으로 식이관리 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고혈압은 대표적인 가족력 질병에 해당됩니다 .

    흔히 일반인들이 헷갈리시는게 유전과 가족력이며 둘은 엄연히 다릅니다.

    ◆가족력과 유전, 다른점은?
    먼저 유전성 질환은 특정한 유전자나 염색체의 변이에 의해 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상 유전자의 전달 여부가 질병의 발생 유무를 결정짓게 됩니다. 다운증후군이나 붉은색과 녹색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적녹색맹, 혈액 내 혈소판이 부족하여 출혈이 잦은 혈우병 등이 대표적인 유전성 질환으로 꼽힙니다. 반면 가족력은 흡연, 음주, 음식 등의 생활습관과 주거환경, 직업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큰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대개 3대에 걸친 직계 가족 중에서 2명 이상이 같은 질병에 걸린 경우 가족력이 있다고 봅니다. 가족력 질병은 생활습관을 개선하거나 검진을 통한 조기 치료로 예방할 수 있고 발병 시기를 늦출 수도 있습니다

    ◆가족력 높은 질병은?
    대표적인 가족력 질병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뇌졸중, 골다공증, 심장병, 탈모, 암 등이 꼽히게 됩니다. 심장병은 가족 중 환자가 있을 경우 다른 사람에 비해 발병률이 2배 이상 높아지며 당뇨병은 부모 중 한 사람에게만 당뇨가 있어도 자녀의 발병률이 크게 높아집니다. 부모가 모두 당뇨병일 때 자식에게 당뇨병이 발생할 확률이 30~40%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혈압은 부모 모두 정상일 때 자녀의 발병률은 4%에 불과하지만 부모 중 한쪽이 고혈압일 때 30%, 양쪽 모두 고혈압일 때 50%까지 발병률이 증가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