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옛날에는 노랫가락으로 수학을 다루었다고 하는데 그 내용과 문헌이 궁금합니다.
전통 산학에서는 창조적 노력보다는 경전시된 산서를 그대로 기억하는 일이 중요했으므로 형식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합니다. 노랫가락으로 수학을 다루었다고 하는데 그 내용과 문헌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시침과 분침이 함께님!
옛날에는 수학 지식이 노래나 노랫가락으로 전달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학 지식을 전달하는 문헌은 "산수종합"이라는 문헌을 포함한 몇 가지 산수 서적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수종합"은 조선시대에 쓰여진 산수서적으로, 당시의 수학 지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책에는 수학적인 내용을 시나 노랫가락 형식으로 풀어서 기억하기 쉽게 작성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헌은 현대적인 수학 교재나 참고서와는 다른 형식이었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이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부족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문헌이 현대에 남아있는 정확한 형태로 보존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랫가락으로 수학을 다룬 것은 『구장산법비류대전』이 최초입니다.
수학의 학습요령, 주의할 점 등을 한시의 형식으로 기술하였고, 주판의 계산법에 관해서는 구귀가(九歸歌)라 하여 그 내용을 모두 시 형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중국, 일본에서 출판됨과 더불어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 『구수략(九數略)』을 비롯하여 수많은 산서가 가결의 형식을 취하였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